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앱이 계속 접속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두 단말기는 항상 연결된다. 즉, 해커는 언제든 상대방의 단말기를 훤히 볼 수 있다.안드로이드는 8차선, 아이폰은 일차선 도로순간 기자의 휴대전화에도 스파이앱이 깔려있는 건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최근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등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뛰어넘어 화학물질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라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동물과 인간 모두를 위한 일이다.과연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설계를 위한 교통 전문가, 다리를 건설할 교량 전문가, 인터넷망을 공급할 전자공학이나 컴퓨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고 학교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교육 전문가가 필요하겠죠? 건축물 설계는 건축가가 담당하고요. 세종시의 경우에는 책임급 전문가만 100여 명정도가 참여했습니다. 도시설계는 ...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재료와 인공조직 재료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모양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답니다. 또한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해 조직의 모양을 정교한 그래픽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지요.연구팀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사람의 귀와 똑같은 모양과 재질을 가지는 인공 귀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MRI)로 관찰한 결과, 초코볼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71%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코볼이 길쭉한 타원형이라면 최대 74%까지 공간을 채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연구팀은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용기 안에서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더 쉽게 빈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현주 교수팀은 암과 관련이 많은 유전자를 찾아내는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전체를 짧은 길이로 무수히 쪼갠 DNA 조각으로 나눠서 얻은 빅데이터를 이용했다.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는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우리의 마블, 동물팡 등 스마트폰 게임도 시간 가는 줄 모를 만큼 재미있지요. 놀랍게도 컴퓨터 게임은 50년대부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1972년의 유명한 고전 게임 ‘퐁’을 직접 만들어 봅시다.오늘의 미션인류 최초의 게임은 바로 1958년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 표시 장치를 이용해 ... ...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번쩍 들어 올리는 아이언맨 팔. 매처럼 볼 수 있는 눈, 슈퍼컴퓨터보다 더 빠른 뇌…, 영화 속 얘기 같지만 조만간 현실이 될 것들이다. 그동안 우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킹하는 것에 비유했다. 무선공유기 하나를 해킹함으로써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컴파일러 백도어는 찾기도 어렵다. 붕어빵에 비유하면 원본 소스 코드가 붕어빵에 들어가는 재료, 컴파일러가 붕어빵을 만드는 틀이다. 그런데 틀에 벌레집(백도어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망막에 이식하면 색소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시신경을 자극한다. 카메라나 소형컴퓨터 등 외부기기가 불필요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 쥐 실험에만 성공한 상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슈퍼눈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해킹그룹 ‘대중을 위한 과학’은 깜깜한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