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보안이 필요한 기술 자료를 연구소 내에서 열람하길 원했고, 조사위원회는 공간적 제약이 조사활동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기술 자료를 연구소 밖으로 가져나가겠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양측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한 가운데 울며 겨자먹기로 내어준 기술 자료가 결국 외부로 유출된 것이다. 이 ... ...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새로운 모습으로 디자인했습니다. 잘 만들어진 디자인 데이터와 콘셉트 이미지 약 33만 장을 학습했죠.2019년 4월에는 중국의 스타트업 딥블루 테크놀로지가 개발한 AI 디자이너 ‘딥보그’가 만든 옷이 중국 국제 패션 디자인 혁신 대회에 나가 2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심사위원 중 일부는 AI가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약 35.92가 첫 번째 프렛의 길이고, 640에서 첫 번째 프렛의 길이를 뺀 604.08을 17.817로 나눈 약 33.90이 첫 번째 프렛부터 두 번째 프렛 사이의 간격이 된다. 같은 방식으로 계속 계산하면 12번째 프렛은 전체 줄 길이의 절반 지점에 이르고, 1부터 12번 프렛까지가 한 옥타브가 된다. 프렛을 누르지 않은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제한 없이 가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어요. 지난해 10월, 서울 홍릉동에 있는 사용자가 약 16km 떨어져 있는 봉천동의 사용자와 가상 공간에서 만나 게임을 하는 데 성공했지요. 거리가 멀어질수록 데이터 지연이 생겨 소리와 영상이 맞지 않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소리와 영상 데이터의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채우면 무게가 183mg이 된다. 연구팀은 로비틀이 최대 2시간가량 작동하며 자체 무게의 약 1.3배(237mg)까지 실어나를 수 있도록 설계했다. 그러려면 기존 로봇에 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는 부족했다. 리튬이온전지는 크기가 작을수록 에너지 밀도가 낮아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단 며칠만 우주를 관측해도 수십 PB(페타바이트·1PB는 약 105만GB)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대용량 데이터는 전송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고성능 중앙처리장치(CPU)와 대용량 메모리가 탑재된 초고성능 컴퓨터가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감소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공항 주변 공간관리 구역은 반경 약 8km 이내로 한정돼 있습니다. 이런 기준을 정할 때 일부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높이 날지 않는 소형 조류종은 고층건물이나 항공기와 충돌할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부연구위원은 “사람이 ... ...
- [수학뉴스] 뉴질랜드 수학계의 영웅 잠들다...필즈상 수상자 보건 존스 별세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기법인 ‘존스 다항식’을 고안한 성과를 인정받아 필즈상을 받았습니다. 수학자들이 약 60년 동안 고민했던 문제의 답을 찾은 것이죠. 그의 연구로 ‘양자위상수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생겼고, 물리학의 끈이론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자신을 ‘키위’라고 부르며 뉴질랜드를 무척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미치는 우주 현상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캐링턴 사건이 만약 오늘날 발생했다면 통신과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산업에 미칠 피해 규모가 1조~2조 달러(약 1189조 원~2377조 원)에 이르며, 복구하는 데만 4~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태양 폭풍 연구를 돕는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b)=a가 성립하는 10000 이하의 친화수 a, b를 찾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자기 자신과 진약수의 합이 같은 ‘완전수’를 제외해야 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a와 b가 같은 완전수인지 확인하면서 친화수를 찾습니다. ● 도전! 오일러 프로젝트 21번 문제 뽀개기 앞서 익힌 파이썬 명령어를 이용해 수학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