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발표했어요. 허블상수는 관측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수정을 거듭하다 현재는 약 70km/s/Mpc*가 주로 쓰이고 있어요. 1메가파섹(Mpc, 326만 광년) 떨어진 은하는 지구에서 초속 70km, 0.000016광년 떨어진 태양은 지구에서 초속 0.0003mm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지요.그렇다면 우주는 언제까지 팽창할까요? 아직 ...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상위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트렌드센터 연구팀이 20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사람들이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다. 그럼에도 3상 임상시험의 결과가 어떨지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는 “현재 공개된 임상시험 논문을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은 일반적인 백신보다 부작용 빈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며 “대규모로 진행되는 3상 임상시험의 특성상 1상과 2상에서 나타나지 않은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해독하려면 DNA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것이 먼저다. 참고로 DNA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 약 2만 개의 유전자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염색체의 양쪽 말단에 있는 텔로미어(Telomere)나 염색체 중간에 있는 중앙체(Centromere)에는 무수히 많은 반복서열이 존재한다. 길게는 수백만 개 염기쌍으로 이뤄진 ... ...
- [과학뉴스] 실가닥 뿜어내는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Hi-C 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실처럼 보이는 이 가닥들의 폭은 약 513km였고, 온도는 100만℃에 달해 플라스마 상태로 전기를 띠고 있었지요. 하지만 이 가닥들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알아내지 못했어요. 연구팀은 이 가닥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Hi-C 망원경을 한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라이카고가 빨리 달리거나 높이 뛰는 등 더 활동적인 동작을 하기엔 무리가 있어. 만약 이런 행동도 할 수 있으면 4족 보행을 하는 로봇의 민첩성이 더욱 향상될 텐데 말이야. 그래서 연구팀은 앞으로 동물의 동작을 담은 짧은 영상들을 더 많이 모아 인공지능을 학습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진행 중이지만, 우선 신생대가 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며 온실효과가 약해져요. 대륙의 이동도 기후에 영향을 주었어요. 남극 대륙은 5600만 년 전에는 남아메리카와, 4000만 년 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갈라졌죠. 남극 대륙이 바다로 둘러싸이자 남극 대륙을 따라 도는 해류인 ‘남극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바꿀 수 있는 꽃가루는 발아구가 3개인 꽃가루 종류만 가능해.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약 27만 종의 ‘진정쌍떡잎식물’이 이에 해당한다고 밝혔지.조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작고 가벼운 소프트 로봇, 에너지 발전기, 센서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지. _ 인터뷰3 조남준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유는 특정 n에 대한 Pn이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이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를 모은 기간이 약 2년 8개월이어서 6개월 이상의 기간에 대한 Pn을 구하면 여러 개의 값이 나올 수밖에 없죠. 이때 Pn을 평균값으로 쓰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정보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7이 1, 2, 4, 6, 9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많은 실패 경험과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통해 북극 연구는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약 130년 전 최초로 북극점 탐험을 시도한 노르웨이의 탐험가 프리드쇼프 난센은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말이다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