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교수는 수학적으로 블랙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1965년에 증명했는데, 이는
약
200년에 걸쳐 꼬리에 꼬리를 문 질문을 수학 문제로 바꾸고, 그것을 증명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① 천체가 밀집하면 어떻게 될까?1783년 영국 과학자 존 미첼과 1796년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21세기 사회에 크게 공헌할 밀레니엄 문제 7개를 선정해 각각 100만 달러(
약
11억 6000만 원)의 상금을 걸었습니다. 여러 수학자를 괴롭혀 악마의 문제라고도 불리는 ‘리만 가설’은 힐베르트의 23문제, 스메일의 18문제, 밀레니엄 문제에 모두 이름을 올린 그야말로 수학자라면 꼭 풀고싶은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뒤 기계학습으로 폐암을 진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완성했다. 알고리즘은
약
75%의 정확도를 보였다. ●에너지 하베스팅 : 인체 에너지로 전자기기 작동꿈의 기업-2018년 SF어워드-만화/웹툰 우수상 2100년 어느 날. 오전 9시 근무시간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울리자 꿈사원들이 하나둘 각자의 캡슐에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8월 16일에 끝났습니다. 환경부에 따르면 장마 기간 전국에 내린 비의 평균 강수량은
약
840mm로 2019년(
약
492mm)보다 1.7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장마 기간과 강수량이 이렇게 늘어나게 된 이유가 기후변화와 연관돼 있다고 말합니다.기후변화와 관련된 교육내용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뉴호라이즌스호는 지금까지 비행한 거리만
약
73억km다. 지구부터 태양까지 거리보다도
약
47배 길다. 지금의 뉴호라이즌스호는 태양계를 두르고 있는 소행성 띠인 카이퍼 벨트를 항해하고 있다. 머지않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우주에 진입할 예정이다.NASA 사람들은 왜 이토록 먼 우주에 탐사선을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구조인지 한눈에 알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지도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분홍색 지역은
약
35억 년 전에 생긴 지질이에요. 당시 달은 수많은 소행성과 충돌해 표면에 많은 크레이터가 생겼지요. 이처럼 이 지도에는 45억 년 전부터 달이 어떻게 변했는지 담겨있답니다.전 NASA의 우주비행사이자 현 USGS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결국 2006년 10월 새로운 조사 위원이 꾸려졌고, 더베르크는 암버르가 사망한 지
약
18년 만에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어요.이처럼 확률값을 다룰 때 중요한 것은 단순한 숫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값이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통계 분포 안에 들어 있는지 아닌지를 ... ...
[기획] 사건3. UC 버클리 성차별 의혹 사건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합격 기대 확률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44%와 35%의 결과가 자연적으로 나타날 확률은
약
10억분의 1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이는 10억 년에 1번쯤 우연히 일어날 수 있는 경우라는 뜻이었으므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했죠. 그런데 면밀히 조사를 진행하던 중 이상한 점이 발견됐어요. 각각의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이를 이용해 고전압 방전을 일으키는 인공 번개 만들기에 돌입하죠. 결국 테슬라는
약
40m의 인공 번개를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안타깝게도 인공 번개를 사용해 전세계로 전기를 보내는 테슬라의 꿈은 이루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는 자신이 만든 테슬라 코일로 실험하던 중 신호를 같은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가워스 교수는 7주 만에 이 문제를 ‘해결한 것 같다’ 고 블로그에 올렸습니다.
약
40여 명이 힘을 합친 결과였죠. 가워스 교수는 이 증명을 ‘D.H.J(Density HalesJewett) 폴리매스’라는 저자명을 붙여 논문으로 냈습니다. 이후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