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KISTEP)에 따르면 울프상 수상자가 나오기 시작한 1978년 이후 울프상 수상자의
약
30%는 노벨과학상까지 획득했다.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샤르팡티에 교수와 다우드나 교수도 2020년 1월 의학 부문 울프상을 받았다.한편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환경탑재체가 실린 건 전 세계 최초다. 상공 3만6000km에서 대기 정보를 담은
약
한 빛을 인식할 장치와 기술이 그동안 없었기 때문이다. 환경탑재체의 영상은 10월 30일 최초로 공개됐다. 그리고 내년부터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탑재체가 제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제작하는 러시아 흐루니체프사가 최대 3차례까지만 1단 로켓을 우리나라에 공급하기로 계
약
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담감에 발사일이 다가올수록 연구원들의 긴장은 최고조에 이르렀다.때문에 ‘웃픈(웃기면서도 슬픈)’ 에피소드도 있었다. 발사일을 한 달 가량 앞둔 어느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활실태조사 결과 발표’ 자료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한 달 평균 생활비는 14만8000엔(
약
160만 원)이다. 그리고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생활비 중 절반 이상을 주거비로 사용하고 있었다. 나는 평균보다 2~3만 엔 정도 높은 17만 엔(
약
180만 원) 정도를 생활비로 지출한다. 그중 9만 엔(
약
100만 원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뉴호라이즌스호는 지금까지 비행한 거리만
약
73억km다. 지구부터 태양까지 거리보다도
약
47배 길다. 지금의 뉴호라이즌스호는 태양계를 두르고 있는 소행성 띠인 카이퍼 벨트를 항해하고 있다. 머지않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우주에 진입할 예정이다.NASA 사람들은 왜 이토록 먼 우주에 탐사선을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교수는 수학적으로 블랙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1965년에 증명했는데, 이는
약
200년에 걸쳐 꼬리에 꼬리를 문 질문을 수학 문제로 바꾸고, 그것을 증명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① 천체가 밀집하면 어떻게 될까?1783년 영국 과학자 존 미첼과 1796년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이를 이용해 고전압 방전을 일으키는 인공 번개 만들기에 돌입하죠. 결국 테슬라는
약
40m의 인공 번개를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안타깝게도 인공 번개를 사용해 전세계로 전기를 보내는 테슬라의 꿈은 이루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는 자신이 만든 테슬라 코일로 실험하던 중 신호를 같은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가워스 교수는 7주 만에 이 문제를 ‘해결한 것 같다’ 고 블로그에 올렸습니다.
약
40여 명이 힘을 합친 결과였죠. 가워스 교수는 이 증명을 ‘D.H.J(Density HalesJewett) 폴리매스’라는 저자명을 붙여 논문으로 냈습니다. 이후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줄로 세워야 할 정도로 작은 공간이다. 더불어 이 별들은 빛을 방출하지 않아야 한다.만
약
그런 별들이 존재한다고 해도 수백만 개의 별이 좁은 공간에 모여 있으면 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 흩어질 수밖에 없다. 서로의 중력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밀집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 결국 우리은하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뒤 기계학습으로 폐암을 진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완성했다. 알고리즘은
약
75%의 정확도를 보였다. ●에너지 하베스팅 : 인체 에너지로 전자기기 작동꿈의 기업-2018년 SF어워드-만화/웹툰 우수상 2100년 어느 날. 오전 9시 근무시간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울리자 꿈사원들이 하나둘 각자의 캡슐에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