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운전조건을 탐색하는 데 활용됐다. 새로 추가된 카이로스의 연산능력은 크라켄보다 약 25배 향상된 1.56PF다. 덕분에 현재 최대 핵융합 난제로 꼽히는 플라스마 경계면 불안정성(ELM)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플라스마 경계면 불안정성 문제는 핵융합 실험로 내부에서 발생한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만드는 것이었다. 이런 알고리즘은 유해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나,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이 선임연구원은 4명의 국내 AI 전문가와 팀을 이뤘다. 당시 대학원생이던 그는 친하게 지내던 최성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선임연구원, 국내 세 번째로 그랜드마스터에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응답자 약 372만 명 가운데 전체 피해 응답률은 1.6%였다.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이 35.6%로 가장 높았다. 욕. 사전적 정의로는 ‘남의 인격을 무시하는 모욕적인 말, 또는 남을 저주하는 말’을 뜻한다. 본래는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습니다. 실제로 2016년 영국 노팅엄대 연구팀은 우주 밀도 변화를 계산해 은하의 개수가 약 2조 개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doi: 10.3847/0004-637x/830/2183이제 모래알 수와 비교해 볼까요. 사막과 해변처럼 드러나 있는 지각 표면은 물론, 지각 내부에도 무수한 모래알이 존재합니다. 우리가 ...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미래의 지구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난제는 역시 ‘기후변화’ 문제일 거예요. 언젠간 반드시 풀어야 할 기후변화 난제는 어떻게 ... 촉매 사이로 잘 들어갈 수 있답니다. 이를 통해 인공광합성 장치의 효율을 1cm2당 0.3A에서 2A로 약 7배 올려 인공광합성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죠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는 외모를 가졌어요. 그 중 이번에 조사된 빗해파리는 ‘Mnemiopsis leidyi’로, 늦여름에 약 1만여 개의 새끼를 낳지요. 과학자들은 새끼들이 성체에 비해 겨울을 나기 어려운데도 늦여름에 새끼를 낳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연구팀은 이런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지난 2008년 8월부터 3개월 동안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는 수학적으로 블랙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1965년에 증명했는데, 이는 약 200년에 걸쳐 꼬리에 꼬리를 문 질문을 수학 문제로 바꾸고, 그것을 증명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① 천체가 밀집하면 어떻게 될까?1783년 영국 과학자 존 미첼과 1796년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결국 2006년 10월 새로운 조사 위원이 꾸려졌고, 더베르크는 암버르가 사망한 지 약 18년 만에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어요.이처럼 확률값을 다룰 때 중요한 것은 단순한 숫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값이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통계 분포 안에 들어 있는지 아닌지를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이를 이용해 고전압 방전을 일으키는 인공 번개 만들기에 돌입하죠. 결국 테슬라는 약 40m의 인공 번개를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안타깝게도 인공 번개를 사용해 전세계로 전기를 보내는 테슬라의 꿈은 이루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는 자신이 만든 테슬라 코일로 실험하던 중 신호를 같은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약 10년간 충북대에서 바이러스학 연구실을 운영했다. 현재 미국 유타주립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체신경계를 감염시키는 일본뇌염 바이러스 및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 기작을 연구하고 있다. youngmin.lee@usu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