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일이다.단백질 사슬 하나는 보통 아미노산 1천개를 가지고 있어 아미노산 사이의 연결
부위
는 10개의 배열을 가질 수 있으므로,1개 단백질이 취할 수 있는 접힌 헌태의 수는 엄청나다.3백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비교적 짧은 단백질이라고 접히는 과정을 원자 단위까지 추적하려면 현재의 가장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자신의 심장에 치명적인 질병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만일 건강한 심장세포를 질환
부위
에 이식한다면 병이 빨리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사람의 심장세포는 면역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킨다.인간배아복제가 빛을 발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자신의 배반포기 배아로부터 떼어낸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다.강화도의 갑곶돈대 성벽도 그냥 지나치지 않으면 생각해볼 것이 많다.성벽의 연결
부위
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특별한 구조를 하고 있다.또 성벽 윗부분의 화살구라는 구멍은 먼 곳을 보기 위한 것인지,가까운 곳을 보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르다.이외에도 덕수궁의 물시계와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다. 하지만 맨눈으로 물고기를 찾기란 쉽지 않다. 물고기는 보통 아랫쪽
부위
보다 윗쪽
부위
가 더 어둡다. 한 설명에 따르면 이는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진화의 산물이라고 한다. 윗부분이 어둡기 때문에 위에서 자신을 잡으려는 다른 물고기나 인간에게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또 ... ...
대머리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안드로겐과 만나 보다 쉽게 빠진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대머리인 경우 머리가 빠진
부위
를 잘 관찰해보면 짧은 모발이거나 얇고 부드러운 모발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모발들은 더 이상 자라지 않고 계속 같은 길이를 유지한다. 머리가 자라는 기간인 생장기가 짧아져 조금 자라다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부르지 않는 이유는, 반복체가 만드는 단백질이 신체 활동과는 무관한, 오직 유전자 반복
부위
의 생존과 증식에만 필요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복체는 게놈 내에서 끊임없이 스스로를 복제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같은 반복체가 급격히 증가한다.진핵생물의 게놈에서 많게는 50%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힘을 알려줬다.화산의 위력K-T 경계층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이리듐을 함유하고 있는
부위
는 보통 두께 30-40cm의 퇴적층 속에 나타난다. 이 두께는 최대 60만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 긴 기간 동안 이리듐이 연속적으로 함유된 원인을 외계가 아니라 지구의 맨틀에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쥐의 생리기능을 비교했다. 우선 연구팀은 양쪽 쥐 모두에게 대장균을 주입하고 감염
부위
에서 백혈구수를 조사했다. 그러자 운동을 시킨 쥐의 백혈구가 더 증가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백혈구는 감염을 일으킨 세균에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하므로 당연히 운동을 시킨 쥐가 운동을 하지 않은 쥐보다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우리가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와우각은 바로 내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위
다.그렇다면 달리는 기차 위에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즉 다른 소음에 개의치 않고 사람의 말에만 집중해서 들을 수 있도록 만드는 메커니즘은 무엇일까.과학자들은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낙엽송 숲에 발생한 산불은 번개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돼 있다.산불은 연소상태 및 연소
부위
에 따라서 지표화(地表火)·수간화(樹幹火)·수관화(樹冠火)·지중화(地中火)로 분류할 수 있다. 지표화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산불이며, 지표에 쌓여 있는 낙엽, 떨어진 가지, 관목, 어린 나무 등을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