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8배까지 커진다. 그래서 이를 지탱하기 위해 보통 성인의 경우 발뒤꿈치 부분의 살
부위
두께는 13-21mm로 발의 다른 부분보다 훨씬 더 두껍다. 물론 이때 신발의 중요한 역할은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다.여러 신발업체의 스포츠화에는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독특한 ... ...
세계의 사장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경간을 넓혀도 한 케이블에 걸리는 힘이 작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과 다리를 연결하는
부위
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사장교를 일반화시키는 계기가 됐다.1970년대 들어서는 사장교의 장대화 추세가 뚜렷해졌다. 1969년 독일의 크니교는 최대 경간 3백19m의 기록을 세웠으나, 이듬해인 1970년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 차지하는 범위가 전체의 1/3를 차지할 정도다. 그만큼 뇌로 보내지는 정보량이 다른
부위
보다 많다는 의미다.따라서 다른 기관보다 악안면에 의한 정보의 오류는 뇌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씹는 행위는 일생을 통해 반복해서 이뤄지는 운동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뤄지는 운동량의 미세한 ... ...
백혈병, 그 완치를 위한 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체에서 골수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곳은 엉덩이뼈다. 이
부위
는 주변에 중요한 혈관과 신경이 없기 때문에 조혈모세포를 안전하게 채취할 수 있는 곳이다. 통상적으로 1시간 정도 전신 또는 척수마취를 한 후 주사바늘을 이용해 10-15mL/kg 용량을 채취하고 기증자는 1-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어원이 되기도 한 태국의 쌍둥이다. 1811년 태국(샴)에서 가슴과 허리
부위
가 붙은 채로 창과 앵 형제가 세상에 태어났다. 물론 머리는 둘이고 팔다리도 보통 사람과 마찬가지로 각각 두 개씩 가지고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특이한 모습 때문에 널리 소문이 났고, 이 쌍둥이를 보기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밝혀졌다.카를손의 연구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이 바로 그린가드다. 그는 뇌의 특정
부위
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뉴런들을 이용해, 세포 내에서 도파민이 어떻게 신호를 전달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혔다. 시냅스의 뉴런에서 분비된 도파민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해 주변에 있는 특정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위험하다. 수가 얼마 남지 않은 호랑이의 배를 갈라야 하고, 수술 후 호랑이가 상처
부위
를 긁어서 내장이 배출될 위험이 크다. 그래서 연구진은 소와 고양이의 난자를 대신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황교수가 소에 관해서는 상당한 권위자이고, 고양이는 호랑이와 같은 고양이과 동물이기 때문이다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주의 비밀을 인간의 언어인 과학으로 풀고자 하는 자신에게 움직일 수 없는 몸의
부위
가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그는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을 느꼈는지 모른다. 그런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그의 말에는 우리가 근접할 수 없는 비장함이 배어 있는 듯 했다.이와 동시에 호킹 교수가 강조한 것은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추 자체는 더 많은 움직임을 만드는 것과 같이, 몸통이 채찍의 줄기를 이끌고 끝
부위
에서는 엄청난 가속도가 붙어 연속된 힘이 채찍의 끝부분에 집중돼 목표에 방출된다. 태권도의 주먹과 발기술은 단순히 팔과 다리에서 나오는 힘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몸에서 최대한의 신전력으로 힘을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자신의 심장에 치명적인 질병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만일 건강한 심장세포를 질환
부위
에 이식한다면 병이 빨리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사람의 심장세포는 면역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킨다.인간배아복제가 빛을 발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자신의 배반포기 배아로부터 떼어낸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