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예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을 비롯한 척추동물은 원래 존재하는 단백질의 기능부위, 즉 도메인(domain)만을 고쳐서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은 더 복잡한 단백질 생산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기보다는 다른 생물에서 이미 검증돼 있는 단백질을 받아들이고 재배열해서 ...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김웅진교수는 “앞으로는 이 표지에 따라 환자의 결함 유전자 부위를 찾아내 정상유전자를 주입하는 등의 치료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지난해 4월에 김교수는 서울대 교수들과 함께 생명공학 벤처회사인 팬제노믹스를 설립했으며 팬제노믹스는 현재 간경화 치료제를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바이러스에 최초로 도입됐다.1970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헤밀턴 스미스는 자르는 부위를 알 수 있는 제한효소를 발견했다. 최초로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1973년 미국 스탠퍼드대의 생물학자 스탠리 코헨과 캘리보니아대의 생물학자 허버트 보이어는 자연적으로 짝이 될 수 없는 두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얼핏 생각하면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부위의 염기가 전체의 1.1%에 집약돼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1백%가 아닌 99%의 데이터를 학술지에 발표한 것은 성급했다”고 말했다. 어찌보면 ... ...
- 킥보드의 물리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핀이 N극이면, 다른 하나는 S극과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핀과 연결된 철판의 부위는 각각 N극과 S극을 번갈아 띠게 된다. 자기장이 변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바로 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르도록 한다.그런데 이때 생기는 전류는 직류가 아니고 교류다. N극과 S극이 바뀌기 때문에 발생하는 ...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심한 경우에는 음식 생각만 해도 눈물이 나온다고 한다. 흔히 교통사고나 안면 부위 신경의 손상 등 부상의 결과로 생기는 이 질환은 침샘과 눈물샘의 신경이 엉켜 신경 교차 증세를 보이는데 원인이 있다. 눈물샘과 침샘의 신경은 갈라져 있어야 하는데 두 신경이 연결돼 버린다는 것.예를 들어 ...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있던 맥키낙 요새의 군의관 중 유일한 외과 의사였던 버몬트가 즉시 달려왔다. 그는 상처부위에 남겨진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을 했지만, 마르탱이 20분도 채 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러나 놀랍게도 마르탱은 출혈이 심하지 않았고, 2차감염도 발생하지 않은 채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했다. ...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Helico)는 나선을 뜻하고, 박터(bacter)는 세균이란 말이다. 또 파일로리(pylori)는 균의 발견부위인 위의 유문부(pylorus,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위의 가는 부분)에서 유래됐다. 어원 그대로 풀면, 헬리코박터균은 위의 유문부에 있는 나선 모양의 세균이다.그런데 위는 강한 산성을 띤다. 위벽 세포로부터 ...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연한 부위 조직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해주었다. MRI는 어떤 질병의 원인이 되는 뇌 부위가 어디인지 등 인간의 건강을 위해 쓰이고 있다. 초전도체가 의학에서 먼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은 셈이다.컴퓨터, 전력수송 분야로의 응용그러나 자기부상열차나 MRI와 같은 교통, 의학 분야에서 보여주는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배를 연상시키듯 아궁이 쪽이 넓고 굴뚝 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이것이 바로 이 부위를 고래라고 부르는 이유다. 따라서 고래 꼬리 쪽으로 갈수록 냉각되는 공기는 고래 바닥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어느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점점 낮아지는 고래의 머리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좁은 꼬리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