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해 마라톤에 중요한 심폐지구력을 측정하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해 뼈의
모양
과 밀도를 확인했다. 호흡가스분석기는 운동 시 섭취하는 산소량을 측정해 선수의 지구력을 진단하는 장치다. 가슴 아래에 심박 수를 측정하는 밴드를 두른 뒤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악당 베인처럼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곳의 상황을 알려주는 ‘힌트’로 사용한다. 가넷은 단단해서 변성암 속에서도 자신의
모양
을 유지한 채 성장하기 때문에 특정한 고압의 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지시 광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지시 광물을 분석하면 광물이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시나리오를 역추적할 수 있다. 방법은 여러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채취한 암조직이라고 해도 암세포들이 모두 같은
모양
을 하고 있는 게 아니거든요.
모양
만 다른 게 아니라 세포마다 발현하는 유전자들도 제각각입니다.doi:10.1038/nbt.2038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암줄기세포로 답할 수 있습니다. 암줄기세포는 여러 세포로 분화할 수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전환된다. 발전소에서 쓰는 발전기도 작동 원리는 같다. 하지만 프로펠러
모양
의 터빈이 발전기에 연결돼 있고, 위의 발전기 기본 원리의 그림과는 반대로 바깥쪽에 코일(고정자)이 고정 돼있으며, 내부에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회전자)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터빈을 회전시키면 회전자에 ... ...
[과학뉴스] 가재 외골격 모방한 가볍고 튼튼한 시멘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적용했다. 이를 통해 균열에 약하고 무거운 시멘트의 단점을 극복했다. 연구팀은 벌집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시멘트 구조물을 제작해, 연구팀이 제작한 구조물이 기존의 시멘트 구조물보다 더 튼튼하고 균열에 강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심지어 일부 구조물은 용수철 같은 탄성을 지닐 수 있다는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자라 붙습니다. 이때 뼈가 붙은 곳을 확대해 보면 직선
모양
이 아니고 지그재그
모양
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미우라 일본 교토대 해부학과 교수팀이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습니다. 손가락 생성의 비밀손가락이 생기는 과정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은 처음부터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부분을 종
모양
으로 떨어지는 물 문제를 응용해서 풀었죠. 이 각각의 결과는 비슷한
모양
으로 만든 여러 물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초콜릿 분수 문제는 비행기 제작에도 응용할 수 있어요” - 아담 타운센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원) 안녕하세요! 저는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첫 박동까지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그동안 쥐 배아는 빛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크기와
모양
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사진을 찍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세포 배양시스템과 레이저가 내장된 새로운 현미경을 개발해 이를 해결했다.켈러 교수는 “초박형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세포를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두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이 두 단백질이 섞이면서 그물
모양
의 단백질 네트워크인 글루텐을 형성한다. 글루텐은 빵을 부풀게 하고 쫀득한 식감도 낸다. 효모가 발효하며 만들어낸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같은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단백질의
모양
을 바꿔 감염을 피한다. 흥미롭게도 이번에 밝혀낸 유전자는 현대 유럽인에게만 존재한다. 네안데르탈인과 고대 아시아계 인류 사이에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가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