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어두운 방 속, 수백만 개의 물방울 입자가 쏟아진다. 당신이 들어서면 물방울이 튀며 물줄기가 휜다. 당신이 어디로,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물줄기는 달라진 ... 감지 카메라가 공간을 3차원(3D)으로 스캔한 뒤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면, 그 공간에 딱 맞게 별
모양
을 맵핑시키는 원리다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생물학적으로는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식물로, 뾰족뾰족한
모양
의 늘 푸른 잎이 특징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에 빨간 열매를 맺죠. 호랑가시나무는 종류가 400~600종이나 됩니다. 그 중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호랑가시나무는 잎이 호랑이 발톱 같다고 해서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길다. 안키오르니스의 경우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
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키오르니스가 비행이 아닌 활공만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정한 비행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깃털과 마찬가지로 비행 능력 또한 새가 아닌 작은 공룡일 때부터 가능했다. 비행이 ... ...
[수학뉴스] 상어 피부비늘의 비밀, 튜링의 방정식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수학자 앨런 튜링이 66년 전 발표한 방정식으로 상어 피부비늘의 이빨
모양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렛 프레이저 영국 셰필드대학교 동식물학과 교수팀은 상어의 비늘 생성 과정이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따른다는 것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위상수학의 방법을 이용해 멋지게 증명했지요. 원하는
모양
의 사각형은 없을까? 가로세로 비율이 3인 직사각형도 항상 있을까요? 현재 수학자들은 원하는 가로세로 비율이 되는 직사각형도 반드시 있는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좀 어려워서 조르당 곡선 중에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모을 수 있다는 거죠? 그것들은 어떻게 생겼나요?” “각각 조그맣고 동그란 원판
모양
이야. 세 가지 색깔로 만들어져 있지.”마치 준비한 듯 즉각 나오는 대답에 수호는 다시 의심이 들었어요.“아니, 어떻게 이 게임에 대해서 그렇게 속속들이 알고 있나요? 아저씨는 도대체 누구죠?”그 말에 ... ...
[과학뉴스]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늘어나기 때문에 대장 끝부분에서 직육면체의 대변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네모꼴을 만들 수 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사진에서 수상한 물체가 포착됐다. 일반적인 돌이나 바위와 달리 지나치게 납작한
모양
을 하고 있어 외계문명의 흔적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NASA는 “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라고 일축했다. 3월에는 칠레 아타카마 지역에서 발견된 ‘외계인 시신’의 유전자를 미국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AI 앵커를 선보였습니다. 실제 신화통신에서 근무하는 남성 앵커 추 하오의 얼굴과 입
모양
, 목소리를 합성해 만들었습니다. 기자들이 컴퓨터에 뉴스 기사를 입력하면 AI 앵커는 실제 앵커의 목소리와 제스처로 똑같이 전달합니다. 이처럼 AI는 말을 알아듣고 인식하는 능력이 상당히 발전했습니다.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긴 팔로 구불구불한 통로를 타고 지하실까지 침투한다. 닥터 허준의 카테터가 딱 그
모양
이다. 사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하고 기다란 카테터는 수술 부위를 파고들거나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 닥터 허준을 사용하면 손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 없이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