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프로그램은 재활용 쓰레기를 바코드와 사물의 모양으로 구분했어요. 그래서 바코드나 모양이 훼손되면 기기가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지요. 그러나 뉴로지니는 학습을 통해 점점 똑똑해지는 머신러닝 방식의 인공지능으로, 영상을 기반으로 학습하면서 인식률을 점점 높였답니다. 분리수거 ... ...
- 인류의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그래서 연구진은 고대 인류가 튀어나온 눈 위 뼈의 크기나 모양으로 이성을 유혹하거나 수컷끼리 경쟁을 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비슷한 예로 맨드릴개코원숭이는 볼의 색깔로 동료를 찾거나 수컷끼리 우열을 가리지요. 연구진은 인류가 점점 사회적인 동물이 되면서 ... ...
- 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일을 들 수 있어요. 결정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 상태의 물질로, 결정의 모양에 따라 물질의 성질이 달라지지요. 이를테면 탄소 원자의 배열에 따라 흑연이 되기도 하고 다이아몬드가 되기도 하는 것처럼요. 과학자들은 1970년대부터 우주정거장에서 결정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해 ... ...
- 우즈베키스탄에서 수학 한류를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코너에도 많은 학생이 몰렸습니다. 에셔의 도마뱀 타일, 단청의 무늬인 소슬금 모양을 잘라서 글씨를 쓰거나 색칠을 하고 화이트보드 칠판에 연결해서 붙여 큰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바닥에는 좌회전 금지 미로와 점프 미로를 놓아 체험 부스를 기다리는 동안 미로를 빠져나오는 경험을 할 수 ... ...
- [수학공작실] 볼록·오목정다각형으로 만드는 열쇠고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서양을 불문하고 별 모양은 예술작품, 카펫, 국가 상징물, 타일, 훈장 등에 쓰입니다. 정 각형을 이용하면 별 문양을 수학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오목다각형과 볼록다각형을 탐구하며 아름다운 열쇠고리를 만들어 봅시다. 볼록정다각형과 오목정다각형 꼭짓점을 선분으로 연결했을 때, 이 ... ...
- [별난 이름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원판 모양의 피자를 가능한 많은 사람이 나눠 먹을 방법을 찾았습니다. 방패처럼 갈고리 모양으로 피자를 나눴지요. 이 방법을 이용하면 20, 28, 36조각까지 낼 수 있고, 이론적으로 무한히 자를 수 있습니다. 다만 토핑이 골고루 올라간 맛있는 부분을 먹는 사람과 퍽퍽한 빵만 먹는 사람으로 ...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골치 아픈 포물선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상관없는 거지요.전부 도망만 다니면 어떡하냐고요? 몸에 닿으면 체력이 줄어드는 반구 모양의 자기장이 섬을 감싸고 있어 도망 다니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이 성가신 자기장은 중심이 9번 바뀌고 그때마다 크기도 줄어서 플레이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주 마주치게 되고, 결국 싸울 수밖에 ... ...
- [과학뉴스] ‘日 귀요미’ 마리모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마리모’는 테니스공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 덕분에 주요 서식지인 일본에서 사랑받는 생물이다. 마리모는 밤에는 물 아래로 가라앉고, 낮에는 물 위에 떠다니는 특별한 습성을 갖고 있다(사진). 도라 카노-라미레즈 영국 브리스톨대 생명과학부 박사과정 연구원팀은 마리모의 이런 습성이 광합성 ... ...
- [과학뉴스] 오바마 멘트 따라하는 푸틴 동영상?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더욱 현실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테오발트 교수는 “이 알고리즘은 말하는 입 모양까지 맞출 수 있을 만큼 정밀하다”며“이 기술이 ‘가짜 뉴스’에 악용될 가능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차폐판은 지름이 약 2.4m, 두께가 약 11.5cm인 탄소 합판이다. 얇은 탄소 강판 사이에 스펀지 모양의 탄소판이 들어 있고, 탄소 강판 표면이 흰색 세라믹으로 코팅돼 있어 태양열을 반사시킬 수 있다. 두께가 불과 10여cm 밖에 되지 않는 얇은 합판만으로 어떻게 수백만 도나 되는 코로나를 버티는 것일까.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