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은 청원고 과학동아 동아리 친구들이 과학동아 편집부와 함께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을 방문한 후 작성한 여러 기사 중 한편이다. 연다혜 양은 다소 생소한 미세증거물에 관련된 내용을 기사로 작성했다. 미세증거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직접 인터뷰한 국과수 ...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찾기 위해 찍은 사진들이다. 문 회장은 최근 자신이 찍어온 8만여 점의 식물 사진을
국립
생물자원관에 기증했다.아래 야생화는 백두산에서 만난 좀참꽃이다. 진달래과에 속하는 이 꽃은 줄기가 옆으로 누워 자라며 높이는 10cm에 불과하다. 꽃은 6~7월에 자란다. 해발 2000m 이상 지역에서 자라며 ... ...
밤하늘에 이글거리는 노른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표면이 글이글 타고 있네요. 도대체 무슨 일일까요?이 사진은 지난 2월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
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마련한 천체사진 공모전에서 일반부 대상을 탄 작품이에요. 깜깜한 하늘에서 해가 빨갛고 노란 광채를 내뿜으며 타오르고 있는 사진이랍니다. 수상자인 김일순 씨는 지난해 1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범인들이 간과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국과수 연구원이 말하다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의 문상옥 연구원과 김명덕 연구원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미세증거물을 이용 해결한 사건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은 무엇인가요?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천안함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37억 년 전의 사건이 공식 기록에 올라 있는 셈이다.이름 릭(RHIC)소속 미국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특징 ‘기록 상’ 가장 뜨거운(4조℃) 실험실. CERN의 LHC에게 1위 자리 내줘 현재는 2위.날짜 2010년 2월 1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떠올리다튜링은 전쟁이 끝난 뒤, 다시 컴퓨터를 설계하는 일에 뛰어들었습니다. 런던의
국립
물리연구소에서 ‘자동 계산 기계’라는 이름의 컴퓨터를 설계했고, 이후 맨체스터대학교로 옮겨 컴퓨터를 설계하거나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그 때쯤 튜링은 생각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드는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먹거나 돈이 생길 때, 또는 섹스를 할 때 얻는 즐거움과 같다는 연구 결과를 5월 초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 스캔 사진을 공개하며 자신의 얘기를 떠들어 대면 뇌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에서 쾌감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의 뇌 자기공명영상(fMRI)을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공습 경보! 공습 경보!”먼지가 우리를 공격하기 시작했어. 빨리 막아야 해. 그런데 먼지는 너무 작아서 잘 볼 수가 없어. 게다가 박테리아만큼 작은 미세먼지와 옷에서 떨어져 나온 마이크로플라스틱은 더 안 보여. 눈에도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것들의 습격,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중국 미세먼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 그 전에 ‘ACE’ 이야기를 빼먹을 뻔 했네요.튜링 전쟁이 끝나고 1947년까지 런던의
국립
물리학연구소(NPL)에서 일하면서 ACE(Automatic Computing Engine)라는 컴퓨터를 설계했습니다. 튜링 기계에 가깝게 만들어 보고 싶었죠. 에니악 같은 기존 컴퓨터는 다른 일을 하고 싶으면 하드웨어 전체를 바꿔야 ... ...
생물다양성 줄어들면 언어도 없어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분석한 결과 전 세계 언어의 70%가 생물다양성이 높은 곳에서 발견됐다고 12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기존 연구가 언어와 생물다양성의 지리적 관계에 대해 접근하는 데 그친 반면, 이번 연구는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연구팀은 전세계에 존재하는 6900여 개의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