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세계의 인구’에서 “최근 인구학의 화두는 인구 안정화”라며 “90억에서 100억까지 인구가 증가한 뒤 안정될지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각막 속의 혈관 생성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지난해 12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발표했다.큠 교수는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 FoxC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사용했다. 이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 쥐의 각막에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더 이상 앞을 볼 수가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구조물을 설계한 뒤 줄기세포와 세포영양분을 쌓아 장기를 만드는 것이다.일본 도야마
국립
대 나카무라 마코토 교수는 살아 있는 세포를 3차원 프린터로 쌓는 데 이미 성공했다. 그는 “장기를 수평으로 얇게 저며 층마다 세포가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 분석한 뒤 그 정보에 맞춰 알맞은 세포를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유방암을 90%까지 치료하는 백신이 나올까. 미국 조지아대 암센터와 메이요 클리닉 연구팀은 면역체계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백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유 ... 2013년에는 1차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용해 전자기기나 광기기의 반도체로 사용할 예정이다.나노 밧줄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기존 나노 소재를 꼬아 새로운 ‘나노 밧줄’을 만들었다. 밧줄의 지름은 600nm 정도이고, 단백질인 ‘콜라겐’의 모양을 흉내 냈다.나노 의약품얼키 루스라티 UC산타바바라 의대 교수팀은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해는 없어요. 그냥 새해의 좋은 덕담 정도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좋답니다.” 천진기 (
국립
민속박물관장)본초강목에서 찾은 증거갑자기 하늘에서 책 한 권이 떨어졌어. 제목이 ‘본초강목…?’ 이건 중국 명나라 때 이시진이라는 학자가 쓴 책 아냐? 그런데 이게 용이랑 무슨 관계라는 거지? 알고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양은 20㎝ 거리에 있는 조명 빛의 양보다 일곱 배 이상 많답니다."이혜진 (농촌진흥청
국립
농업과학원농업공학부)식물은 빨강, 파랑 빛을 좋아한다?식물공장에서 식물에 쏘이는 빛의 색을 보면 빨강, 파랑이 많아요. 식물이 빨간색과 파란색 빛만 좋아하는 걸까요? 비밀은 광합성에 있어요. 식물은 ... ...
어린이 과학동아가 과학으로 바꾼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꾸냐고요? 전시관에 가서 직접 확인해 보는 게 어떨까요? ‘과학자가 바꾼 세상’은
국립
과천과학관 1층기초과학관에 있어요.언제든지 볼 수 있는 상설전시랍니다.QR코드를스마트폰으로 찍어전시물을 미리 구경해 보세요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전에도 전쟁은 인구를 직접 제약했다. 영국 런던대 인류학과 제인 장 교수팀이 2007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13~14세기 몽골군의 침략 때인구가 원래의 거의 절반인 5500만 명으로 줄었다. 한편 전쟁 뒤에는 갑작스럽고 일시적인 인구 증가 현상(베이비붐)도 ... ...
물고기,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람처럼 두 발로 걷고 뛸 수 있는 물고기가 발견됐다. 이 물고기의 이름은 ‘프로톱테루스 아넥텐스(Protopterus annectens)’로, 육지에서 숨을 쉬는 물고기인 ‘폐어’ ... 이미 육지에서 살 수 있는 과정을 끝낸 셈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