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당시 사람들은 과학 지식이 부족해 이를 혜성이라고 하였다(독일 뉘른베르크 게르마니체
국립
박물관 소장).➌울산 반구대암각화의 탁본(울산대 박물관 소장).]인류 최초의철기,하늘에서 온운석이었다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말할 때 흔히 의 순서를 든다.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보내셨어요. 과연 어떤 선물일까요?두 개의 별이 뜨는 행성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천문대인 소백산천문대장, 이동주 박사예요. 저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두 개의 태양이 뜨는 외계 행성계를 선물하고 싶어요. 바로 소백산천문대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한 외계 행성이지요.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꼭꼭 숨어라~! 발가락 보일라~.”안녕? 난 수원청개구리라고 해. 나랑 술래잡기하지 않을래? 가위, 바위, 보! 내가 이겼다. 지금부터 네가 술래야. 어서 날 찾아봐~!먼저 내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 줄게.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크기 2.5~4㎝.노래주머니 수컷은 노래주머니가 있고, 대부분 노래주머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좀비 바이러스도 마찬가지고요. 지난 6월 1일 미국
국립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는 현재 좀비 바이러스는 없다고 발표했지만, 앞으로 좀비 바이러스가 출현할지도 모르는 일이잖습니까? 따라서 판단은 여러분에게 맡기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뱀파이어와 좀비가 ... ...
얼어붙은 행성은 생명의 꿈을 꾸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다음 숨 쉴 곳을 살펴보기 위해 취하는 동작이다.포악한 들소사냥꾼 캐나다 우드버팔로
국립
공원의 늑대 무리는 설원의 무법자다. 이들은 들소를 사냥할 수 있을 정도로 힘이 세고 체력도 좋다. 하지만 이들이 대규모 사냥을 나서는 것은 겨울. 추위에 들소들이 약해지고, 흰 눈을 배경으로 ... ...
위협을 느끼면 폭풍성장하는 박각시나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박각시나방의 애벌레는 포식자가 주변에 있으면 더 빨리 성장한다.]포식자가 나타나면 대부분의 동물들은 움직임을 줄이고 방어에 온힘을 다한다. 따라서 쓰는 ... 먹이 부족이 아니라 포식자 때문임을 확실하게 해줬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7월 호에 실렸다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과학수사를 하는 거야. 경찰이 지문을 채취하거나 증거물을 수집하면 자세한 분석은 ‘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에서 주로 한단다. 주로 생물이나 화학 등을 전공하고 석사 학위 이상 받은 사람을 뽑아. 과학수사를 하는 경찰도 대부분 국과수에서 정기적으로 증거물 수집방법 등을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은 청원고 과학동아 동아리 친구들이 과학동아 편집부와 함께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을 방문한 후 작성한 여러 기사 중 한편이다. 연다혜 양은 다소 생소한 미세증거물에 관련된 내용을 기사로 작성했다. 미세증거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직접 인터뷰한 국과수 ...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찾기 위해 찍은 사진들이다. 문 회장은 최근 자신이 찍어온 8만여 점의 식물 사진을
국립
생물자원관에 기증했다.아래 야생화는 백두산에서 만난 좀참꽃이다. 진달래과에 속하는 이 꽃은 줄기가 옆으로 누워 자라며 높이는 10cm에 불과하다. 꽃은 6~7월에 자란다. 해발 2000m 이상 지역에서 자라며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뇌 역시 심장처럼 한 순간도 쉬지 않기 때문이다. 레이클 교수팀은 2001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주목할 만한 논문을 한편 발표했다. 지금까지 2700회가 넘게 인용된 이 논문에서 레이클 교수는 “우리가 아무 일도 하지 않을 때에도 뇌는 바쁘게 돌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뇌영상만으로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