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때, 참여한 물질의 질량이 소모되고 에너지가 발생한다. 하지만 그 양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
로 작다. 이런 경우 질량은 근사적으로 보존된다고 본다. 하지만 원자의 세계에서 더 깊게 들어간 핵의 세계에서는 얘기가 다르다. 원자핵이 융합하고 분열하는 반응에서는 질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변한다.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다른 국가에 비해 짧다. 하지만 지금은 한국이 없다면 ITER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울
정도
로 대단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역할은 ITER가 건설된 후에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특히 한국의 플라스마 운전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Q. 마지막으로 한국의 독자들에게 한 마디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인공위성 발사가 점점 더 많아지기 때문에 위성의 충돌 위험이 앞으로 약 5배
정도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은 이미 나와 있었다”며 “여기에 스타링크까지 더해진다면 수명 다한 위성이 대부분 대기권에서 소멸한다 한들, 충돌 위험은 25배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현재로서 이런 인공위성의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년이 넘는 고된 실험이 있었다. 실험을 얼마나 많이 했던지 석영관의 내부가 보이지 않을
정도
로 부식된 적도 있다. 고온 열처리로 석영관의 실리콘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석영관 내에 산화물이 쌓여서다. 실험에 사용한 구리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위에 증착된 필름 형태다. 그렇다 보니 고온에서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간을 비교적 편하게 보낼 수 있다. 기말고사가 성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30%
정도
로 결정적이진 않다. 시험을 망쳐도 평소 과제를 잘했다면 전체 성적에는 큰 타격을 입지 않는다. 나는 3학년 때 ‘CS142’라는 분산 컴퓨팅 과목에서 시험을 망쳐서 70점대의 점수를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평소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그 특성은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이 비유는 지금까지 회자될
정도
로 위상수학의 특성을 쉽게 설명했다. 물론 이런 친절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전체 연구 업적을 정확히 이해하는 이는 많지 않았겠지만 말이다.이처럼 보이지 않는 물리 세계를 전문가가 아닌 대중에게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질량이 클수록 은하의 나선팔이 휘어진
정도
가 크고, 블랙홀 질량이 작을수록 휘어진
정도
가 작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관계를 이용해 나선팔 각도로 은하 중심부 블랙홀의 질량을 추정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피치 각’이라는 나선팔의 각도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발아율이 낮아 열매가 충분히 익은 상태에서 씨앗을 채취해 발아시키더라도 발아율이 50%
정도
에 그친다.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새싹을 활용하면 씨앗을 발아시키는 과정 없이도 어린 구상나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의 배아줄기세포는 야생식물종자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뜻도 있겠지만, 꿈속에서만 존재할
정도
로 실현해내기 어려운 기술이라는 의미도 어느
정도
있지 않을까요? 하지만 이제는 꿈에서 깨어나야 할 때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현실 가까이 다가왔기 때문이죠.앞으로의 핵융합 연구는 현재의 연구원들보다는 미래 세대의 연구원들이 해결해야 할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항공기를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사진을 촬영했다. 집중적으로 촬영한 기간은 17일
정도
지만, 기상 조건 때문에 5개월 간격으로 촬영한 구역도 있다. 촬영 간격이 긴 장소는 나뭇잎의 형태나 색 변화를 보정했다. 네이버랩스 매핑앤로컬라이제이션팀은 이렇게 확보한 수만 장의 항공사진에서 동일한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