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좀 더 작고 어둡게 그려봤어요.”“너무 어두울 것 같은데요? 적어도 책은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아야죠.”까다로운 손님에 지친 꿀록 탐정은 마침내 묘안을 떠올렸어요. 스케치북을 뒤로 넘겨 네모난 상자를 그린 거죠.“자, 왕자님. 잘 보세요. 왕자님이 원하는 별은 이 상자 안에 들어있답니다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너무 좋아서 ‘피터팍의 피즘’에서 무슨 노래로 ‘주접을 떨어야’ 할지 고민스러웠을 정도로 ‘THE ALBUM’은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높다. 타이틀 외에도 ‘WAP’로 파격적인 반응을 얻은 미국 래퍼 카디 비가 참여한 ‘Bet You Wanna’ , 미국 배우이자 가수인 셀레나 고메즈가 참여한 ‘Ice Cream’ , 들을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질량이 클수록 은하의 나선팔이 휘어진 정도가 크고, 블랙홀 질량이 작을수록 휘어진 정도가 작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관계를 이용해 나선팔 각도로 은하 중심부 블랙홀의 질량을 추정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피치 각’이라는 나선팔의 각도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아율이 낮아 열매가 충분히 익은 상태에서 씨앗을 채취해 발아시키더라도 발아율이 50% 정도에 그친다.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새싹을 활용하면 씨앗을 발아시키는 과정 없이도 어린 구상나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의 배아줄기세포는 야생식물종자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행도 있었다. 실제로 과거 밀렵꾼들은 1000달러(약 112만 원) 정도의 벌금형이나 1~2주 정도의 가벼운 형량을 받아왔다.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그런데 DNA라는 강력한 증거가 등장하며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살해된 야생동물의 DNA로 범죄자를 추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신디 하퍼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특히 로메인 상추의 씨앗이나 잎을 먹은 쥐는 대조군보다 수면 지연 시간이 최대 1분 정도 줄었으며, 총 수면량은 최대 15분 이상 늘어났습니다. 3. 우주에 존재하는 별 vs. 지구의 모래 알갱이 수, 무엇이 더 많을까? A. 별의 수 최솟값과 지구상의 모래알 수는 비슷해 천문학 분야 책을 보면 우주에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간을 비교적 편하게 보낼 수 있다. 기말고사가 성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30% 정도로 결정적이진 않다. 시험을 망쳐도 평소 과제를 잘했다면 전체 성적에는 큰 타격을 입지 않는다. 나는 3학년 때 ‘CS142’라는 분산 컴퓨팅 과목에서 시험을 망쳐서 70점대의 점수를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평소 ...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그 특성은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이 비유는 지금까지 회자될 정도로 위상수학의 특성을 쉽게 설명했다. 물론 이런 친절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전체 연구 업적을 정확히 이해하는 이는 많지 않았겠지만 말이다.이처럼 보이지 않는 물리 세계를 전문가가 아닌 대중에게 ... ...
- [과학뉴스] 태양, 어떻게 태어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위성은하예요. 말 그대로 위성처럼 우리은하를 공전하고 있지요. 연구팀은 우리 지구에서부터 빛의 속도로 약 7만 년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를 주목했어요. 이 은하는 70~8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런데 핵은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어요. 이처럼 던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입자는 어떻게 가속할까요? 답은 ‘전기력’에 있어요. 전하*를 띠는 물체는 서로 밀거나 당기는 ‘전기력’을 받아요. 가속기에서 사용하는 수소 원자는 음전하를 띠는 ‘전자’와 핵으로 이뤄져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