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동아사이언스 l2016.10.23
-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특이하게도 2쌍, 즉 4개의 염색체 그룹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은 대부분 부모에게 하나씩 염색체 그룹을 받아 1쌍, 즉 2개의 염색체 그룹을 가지는 것과 다른 점이다. 연구팀은 7년에 걸쳐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유전체를 해독했다. 각 ...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6.10.16
- 그림을 연상하게 한다. 네이처는 이번 호를 '인간의 유전체' 특집으로 삼고, 대규모 인간유전체 분석결과를 실은 세 개의 논문을 나란히 게재했다. 첫 번째 논문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데이비드 라이히 교수팀을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다뤘다. 전 세계 142개 집단에서 300명 ... ...
- 자기 방어와 합리화, 어떤 상황에서 튀어나올까2016.10.11
- 있는지에 대한 가장 즉각적인 피드백이다”. 즉,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느낀다면,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가치에 어딘가 흠집이 생겼다는 신호를 받고있는 것이다. 흔히 말하는 ‘양심’과 가까운 감정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만약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느낀다면 그 다음에는 자신의 ...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동아사이언스 l2016.10.09
-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각 지역별로 발견된 돌연변이 유전자. 지구 각지로 퍼진 인간이 주어진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달시킨 유전변이다. - 사이언스 제공 네이처 제공 ‘네이처’ 10월 6일자 표지에는 침대 위에서 뒤척이는 사람의 모습이 실렸다. 프란츠 웨버 미국 UC버클리 ... ...
- 우울함을 다스리는 방법2016.10.04
- 과대평가하는 경향 역시 지속적인 우울감과 관련을 보인다. 심리학자 Silvia는 “대부분의 인간들에게 어렵고 힘든 일을 당연히 잘 해내야 한다는 높은 기준을 스스로에게 세워놓고 힘들다고 좌절하는 행동을 반복할수록 우울해지기 쉽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따라서 한 번 실패하면 인생이 망할 ...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2016.10.04
- 이번 사용금지조치는 시급한 결정이다. 지구의 생태와 환경을 살리기 위한 방안은 다들 인간의 활동과 수요를 줄여야 실효가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이산화탄소 감소, 지속가능한 식단을 위한 육식 감소, 그리고 미세플라스틱 피해를 줄이기 위한 플라스틱 생산 감소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동아사이언스 l2016.10.03
- 자연의 서식지일수록 종의 분화가 줄어들어 생물학적 다양성이 적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열대 지역의 생태계가 유전적으로 더 다양하다는 것이다. 렌 길만 뉴질랜드 오클랜드기술대 교수는 “열대 종들이 앞으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새로운 종으로 분화할 가능성을 ... ...
- 거절에 대한 두려움2016.09.27
- 게 놀라운 일이 아닐까? 보통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망칠까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인간관계가 물론 중요하지만 한 번으로 끝이 아니니까 괜찮다고, 천천히 내 기준과 내 페이스로 만들어가면 망할리 없다고, 또는 조금은 망해도 괜찮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 참고문헌 Langens, T. A., & Schüler, J. ( ... ...
-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9.25
- 있는 생물들이 원시 상태의 1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잉카 문명이 들어서며 인간이 농작을 시작했고, 그 결과 생물다양성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비 교수는 “이미 알려진 것 외에도 생물학적으로 위기에 처한 많은 장소는 더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예를 들어 우린 남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인정받고 싶어 한다. 즉 자신이 쓸모가 많은 인간이어서 내가 자리를 비우면 일이 잘 안 돌아가길 바란다. 그런데 한 열흘 해외출장을 다녀와도 “어디 갔었어?” 같은 반응을 접하면 김이 새기 마련이다. 그런데 ‘장자’는 쓸모있는 존재가 되는 게 늘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