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나올지 궁금하다. 혹시 우리들도 별 다른 거리낌 없이 다른 집단 사람들을 나보다 열등한 인간으로 보고 있거나 나와 같은 지적 능력,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 않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문제다. ※ 참고문헌 Kteily, N., Bruneau, E., Waytz, A., & Cotterill, S. (2015). The ascent of man: Theoretical and empirical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받는 시점 (아마도 50대 이후)에서는 이미 생식값 (생식능력)이 꽤 낮은 상태다. 게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서로 보살피기 때문에 노안이 심해져도 치명적인 증상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최근 일본 교토대의 연구자들은 야생 보노보의 털 고르기 장면을 분석해 나이가 듦에 따라 털 고르기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도덕’이고 따라야 할 ‘명령’이라면 역시 집단의 압력과 권위에 쉽게 복종하는 인간으로서는 따를 수 밖에 없겠다 싶기도 한 것이다. ● 종교적 극단주의가 ‘선택받은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나아가 주로 이원론(선 아니면 악의 이분법), 권위를 신봉(경전이나 성직자 등),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식물의 독에 대한 방어메커니즘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인간과나 소과에 속한 종들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범과 눈표범, 치타가 그런데 작은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의 멸종을 ...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동아사이언스 l2016.11.06
- 가진 쥐 손의 모습이 등장했다. 다지증에 걸린 돌연변이 쥐의 손 골격이다. 현재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지동물은 다섯 개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진화 초기의 사지동물은 6개에서 많게는 8개의 손가락을 가지고 있었다. 마리 크미타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팀은 ...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2016.11.01
- 1/4이 천체의 배열이 어떤 식으로든 하필 인간의 심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성술, 알 수 없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는 신통력, 또는 유령 등의 초자연적 현상의 존재를 믿는다고 한다. 또한 죽은 사람의 영혼과 대화를 나누는 것 또한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한다 (Vyse, 1997).” GIB 제공 별 다른 근거 ... ...
-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IBS l2016.10.31
-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세계적 석학과 함께하는 IBS 개원 5주년 행사IBS l2016.10.31
- 김수현 작가의 '유니버셜 블록' - IBS 제공 김두철 IBS 원장은 "과학과 예술은 모두 우리 인간만이 누리는 고도의 지적 경험이자 자산인 만큼, 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의 교류는 서로 새로운 통찰을 주고받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IBS와 대전시립미술관의 공동 프로젝트가 많은 시민들에게 과학과 ... ...
- [멘탈테스트] 당신은 얼마나 멘탈이 강한 사람입니까2016.10.25
- 일어서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넘어졌다가도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 무엇이 우리 인간으로하여금 다시 일어날 힘을 주는 걸까? GIB 제공 삶의 다양한 스트레스나 상처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힘을 회복탄력성(Resilience)라고 부른다. 연구들에 의하면 이런 극복능력이 강한 사람들은 그렇지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누군들 놀라고 불쌍한 마음이 들지 않겠는가? (중략) 이러한 예를 통해 측은지심은 인간이 본질적으로 지닌 본성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