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온)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고수는 싸우지 않고도 상대를 알아보는 법. 이미 인류
역사
상 최고온이라는 기록을 달성한 고수 RHIC은 한 체급 높은 LHC가 자신을 능가할 거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2010년 11월, LHC는 처음으로 납 이온을 서로 충돌시키는 실험을 하며 정말로 10조℃가 넘는 온도를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최고의 자연 요리사라고 할 수 있겠다. [ 광합성 전체과정]광합성 연구의
역사
식물이 포도당을 생산한다는 생각은 언제부터 갖게 됐을까?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들은 대부분 19세기 수많은 과학자들의 발견을 통해 알려졌지만 광합성은 아직 그 과정이 완벽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요리한 마법요리풍무고 PSL(Pung-mu Science Leaders)은
역사
가 그리 오래 되지 않았지만 그 활동 내용을 보면 만만치 않은 내공이 느껴지는 동아리다. 지난해 제 1회 대한민국 창의체험 페스티벌에서 달걀을 만드는 분자요리 등 과학실험으로 단번에 최우수상(이색부문)을 거머쥐었다. 처음에는 실패의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백 기 이상 제작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런 판단은 일본의 우주개발
역사
를 통해 내릴 수 있다. 일본이 개발한 우주발사체 ‘M-V’로켓은 발사추진력이나 비행성능으로 미뤄 볼 때 미국의 ICBM인 ‘피스키퍼(LGM-118A)’에 버금간다. 더구나 일본은 최근 M-V보다는 추진력이 떨어지지만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않을까. 디지털 우주에서 재현된 또 다른 ‘나’ 역시 같은 영화관에 앉아서 같은 우주의
역사
를 관람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컴퓨터 속 우주에서 사는 ‘나’는 과연 무엇일까.완벽한 우주 창조의 꿈물론 오늘날의 컴퓨터로 우주를 완벽히 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로 계산한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유전자가 계속 손상되면 앞으로 1000만 년 뒤에 Y염색체가 사라진다고 추정했다. 진화의
역사
에서 보면 짧은 시간이다.남자들이여, 가슴을 펴자Y염색체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인류가 오래 살아남는다면 Y염색체는 사라지고 다른 염색체가 성염색체를 대신할지도 모른다. 혹은 그보다 전에 모든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라플라스의 악마’라 이름 붙인 건 후대의 사람들이다).원인을 모르는 질병이나
역사
적 사건도 아직 많지만 라플라스의 악마라면 원인을 다 알고 있을 것이다.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뉴욕에 허리케인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지만 라플라스의 악마는 카오스 이론에 지배받는 날씨마저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드는 데 세 분이 도와 주실 거야.로봇 만화 붐을 일으킨 태권브이우리나라 로봇 만화
역사
는 꽤 오래 됐어. 1955년에 로봇 만화 ‘로벗트’가 처음 나왔거든. 그리고 1976년 ‘로보트 태권브이’가 로봇 만화 붐을 일으켰지. ‘철이’라는 주인공이 조종한 태권브이는 태권도로 악당 로봇을 물리쳤어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특허를 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가 어딘가요! 수학적인 특허소 아니겠습니까? 수학의
역사
를 되돌아보면, 수학에도 위대한 발명이 많답니다.아무리 수학을 싫어한다고 해도 숫자 안 쓰는 사람은 없을 걸요? 숫자와 기호, 그리고 특별한 숫자 0은 수학에서 위대한 발명이랍니다. 숫자와 기호,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한다는 것은
역사
와 일상을 통해 자명하다. 특히 과학이 잘 정립되지 않았던 과거엔 더욱 그랬다. 인류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 현상이 나타나면 하늘이 우리에게 노했다고 생각했고, 큰 유성이 떨어지면 위대한 인물이 세상을 떴다고 해석했다. 자신의 나라가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