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약 한 시간 정도 걸리며, 나무와 호수로 둘러싸인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역사
는 길다. 미라 프로젝트 매니저인 올리비에 반 데 보그트 씨는 “우리 연구소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원자력 연구소”라며 “현재 75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고 이중에서 70명 이상이 박사급 연구원”이라고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노년기의 삶이 보편화됐다는 할머니 가설의 허점이 발견된 것입니다. 우선 인류의 진화
역사
속에서 노년층의 비율이 점점 늘어난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노년층의 비율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400만 년 전 등장)보다 호모 에렉투스(200만 년 전)에서 더 커졌습니다. 네안데르탈인(약 60만 년 전 등장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아무래도 지구의 생명을 한꺼번에 치우는 게 낫겠다.처음엔 쉬워 보인다. 이미 지구는
역사
상 5번의 대멸종을 겪었다. 유명한 중생대 백악기 말의 대멸종에서는 공룡과 암모나이트를 비롯한 대형 동물을 여럿 멸종시켰다. 고생대 말기인 2억 5000만 년 전의 대멸종은 육지와 바다를 통틀어 생물 종의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수백 명이 10년 이상 몸담아 일하고 국가가 수천억 원을 쏟아부은 프로젝트가 한 순간에
역사
되었다. 실수로 한순간에 전사하다 두번째로 발사를 준비하던 헤시는 태양관측위성이다. 태양은 정확히 11년을 주기로 흑점활동이 변하는데,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양을 대략 2000년에서 2005년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가서 봉사를 했다. 물론 친구들과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도와서 가능한 일이었다. 지
역사
회에서 자신의 전공을 이용해 할 수 있는 봉사를 한 것이다. 단순히 봉사시간만 채우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한양대로 가는 길 스펙을 위한 스펙이 아니라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활동을 했고 순수한 호기심으로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자인 ‘선(船)’을 합친 일본식 표현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쓰인 잘못된 표현이지요.
역사
기록에서는 거북을 뜻하는 한자 ‘귀(龜)’를 붙여 ‘귀선(龜船)’이라고 썼어요. 그러니 한글로 바꾸면 ‘거북배’라고 부르는 게 옳답니다.진짜 거북선은 어떤 모습일까?네? 제가 본 거북선이 장군님의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위해 백분율로 표현하면 100%의 손가락이 아니라 140%의 손가락이다. 40% 차이지만, 오랜
역사
동안 사람들은 이를 구분해왔다. ‘비정상’이라고. 그래서 무표정해 보이는 샤갈 그림속 주인공의 눈에는 다른 부류가 된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슬픔이 깃들어 있다.“이런 ‘다지증’은 염색체 이상으로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굳이 고도정수처리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려를 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 정수처리는
역사
가 오래됐고, 기술도 잘 검증돼 있어 이 정도 오염에도 대처할 수 있다. 더구나 서울과 낙동강 등의 정수장 일부는 이미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갖춰서 이중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안심해도 좋다. 다만 남조류의 ... ...
고전문학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연구팀은 이런 궁금증을 갖고 세 가지 고전을 분석해 보았다. 그들이 분석한 세 작품은
역사
상 최고의 대서사시로 꼽히는 호머의 , 게르만 민족의 영웅서사시 중 완전히 보존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 그리고 컴트 신화를 다룬 아일랜드의 서사시 다.연구팀은 먼저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국내를 넘어 세계를 보고 있는 UNIST. “짧은
역사
지만 학교를 우리가 만들어간다. 우리가
역사
를 쓰고 있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1학년 전성원 학생의 말을 들으니 UNIST의 미래가 더욱 기대된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