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자인 ‘선(船)’을 합친 일본식 표현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쓰인 잘못된 표현이지요.
역사
기록에서는 거북을 뜻하는 한자 ‘귀(龜)’를 붙여 ‘귀선(龜船)’이라고 썼어요. 그러니 한글로 바꾸면 ‘거북배’라고 부르는 게 옳답니다.진짜 거북선은 어떤 모습일까?네? 제가 본 거북선이 장군님의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했다는 점에서 유럽의 제국주의를 도운 것도 사실이다.이에 대한 반발로 1967년 독일의
역사
학자 아르노 페터스는 19세기 중반 제임스 골이 발표했던 도법을 빌어 오늘날 골-페터스 도법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만들었다. 골-페터스 지도는 각 나라의 실제 넓이를 반영했다. 페터스는 이 방법이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싱가포르는
역사
적으로 영국 등 세계열강들이 무역기지 거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도 4개다.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를 모두 쓴다. 화폐나 지하철에도 4개의 언어가 함께 표기돼 있다. 싱가포르는 이민을 장려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권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것을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안과 밖에 입힌 뒤 불에서 구워낸 그릇을 말한다.
역사
적으로 보면 옹기는 넓은 범위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통옹기는 생명에 대한 이해에서 얻은 환경지혜가 가득 담긴 산물이다. 우선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다. 숨 쉬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획기적인 ... ...
PART 2. 수학으로 즐기는 올림픽 축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1 : 0 아니면 2 : 1축구 경기를 보다보면 소위 약팀이 강팀을 이길 때가 있다. 월드컵
역사
에 남아 있는 약팀들의 반란을 보면 대부분 1 : 0 아니면 2 : 1이다. 이런 경험은 양팀 전략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혹시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점수가 정해져 있는 건 아닐까.영국의 프리미어리그를 바탕으로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활동하고 있는 수학·과학 전문 작가다. 이번에 새로 구상한 책을 쓰기 위해 파도타기의
역사
가 깊은 하와이로 가던 길이었다. 잠시 배 멀미로 정신을 잃은 사이, 난 정체모를 이 섬에 갇혀 버렸다. 아무래도 이번 여행은 계획 보다 조금 길어질 것 같다.파도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 시작한 ... ...
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박사가 각각 핵심적인 결론을 이야기할 때마다 박수와 환호성이 터졌다. 입자물리학계의
역사
적인 현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확신하게 만드는 분위기였다. 두 검출기는 따로 데이터를 분석해 결과를 내놓았는데, 두 데이터가 모두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비록 입자물리학자들은 “힉스를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자취를 다루는
역사
학은 변신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곧
역사
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역사
학을 비롯한 인문학의 시선은 눈앞의 사람에만 머물지 않고 저 높은 하늘에도 두어야 그 소임을 다 할 것이다(관련 사진과 기록은 블로그 blog.naver.com/tjyi2323에서 볼 수 있다)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치루었는지 모른 채 가벼운 유머를 날린 것이다.이렇게 쉽게 눈에 띄지 않는 비밀스런
역사
가 우주에서도 벌어진다. 태양은 지구보다 30만 배 무거운 기체 덩어리이다. 평균밀도는 대략 물과 비슷하다. 하지만 중심온도가 1000만℃가 넘고 가장 온도가 낮은 표면도 6000℃에 달하니, 전체가 고밀도 ... ...
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역사
를 석기·청동기·철기 시대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바로 생활양식을 바꿔버린 새로운 ‘재료’다. 새로운 재료는 시대 패러다임을 바꿀 만큼 영향력이 엄청나다. 다음 세대를 명명할 새로운 재료는 무엇일까? 열쇠는 바로 ‘재료공학’에 있다.1 재료공학이 뭐죠?재료공학은 보고 만지며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