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본 후지필름의 후지모토 신이치 책임연구원은 “3D 카메라 기술의 핵심은 사람의
뇌
에 해당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이라며 “2개의 2차원 이미지를 합성해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실제로 후지모토 연구원의 사진을 찍고 난 뒤 뒷면의 3D 액정화면으로 보자 마치 입체안경을 쓰고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부검 외에는 확진할 수 있는 방법조차 없고 치료법도 없는 희귀하면서도 공포스러운
뇌
질환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미지의 질병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의 열정과 명예욕, 때때로 정치적이어서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문제 해결방식을 만날 수 있다. 더불어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찬반논쟁이 얼마나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발견했다. 사람과 비교한 결과 아미노산 서열이 98% 같았다. 흥미롭게도 새의
뇌
에서 사람
뇌
의 기저핵에 해당하는 영역X에서 FOXP2가 많이 발현했다. 사람 역시 기저핵에서 FOXP2가 많이 발현된다. 새는 꾀꼬리 같은 명금류(songbird)와 비둘기 같은 평범한 종류로 나뉜다. 명금류의 경우 새끼가 주위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뇌
에 도달하면, 렙틴이나 인슐린이 식욕을 억제하도록 신체에 보내는 신호를
뇌
가 무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포만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이런 현상을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지방을 많이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뜨거나, 또는 안구를 굴리는 동작도 전극으로 감지된다. 감지된 움직임은 근전도와
뇌
전도 전극을 통해 전기 신호로 바뀌고, 이것은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뀌어 각각 스크린과 배우의 의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전해진다.소리는 어디에서 나는 걸까. 배우들이 입고 있는 얇은 옷은 천이 아니라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딱딱히 굳어간다. 그리고 낙천적 성격의 종우도 루게릭병 앞에 점점 의지를 잃어간다.
뇌
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는 성상교세포와 면역세포의 일종인 미세아교세포처럼 신경세포가 아닌 세포들과 이웃하고 있다. 이 세포들은 운동신경세포에 신경영양인자를 공급하거나, 분비된 글루타메이트 같은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서로 주고받는 전기신호가 훨씬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루이 박사는 “전두엽은
뇌
에서 음을 만들어 내는 영역이고, 측두엽은 음을 듣는 영역”이라며 “검사 결과 음치들은 두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신경섬유가 매우 적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음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전두엽과 측두엽이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생물교과서처럼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정자와 난자의 모양에서부터 태아의 성장과정과
뇌
의 발달과정까지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키나 외모에 민감한 성장기 청소년들의 관심을 끄는 내용도 많다. 성장점을 자극해 키가 크도록 도와주는 운동을 배울 수 있으며 ‘사춘기의 적’인 여드름을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질문에 인지신경과학자인 저자가 답변하는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또
뇌
가 만들어내는 세상이 실재가 아니라 환상에 가깝다고 강조하는 저자의 주장도 흥미롭다.컴퓨터와 마음윤보석 지음 | 대우학술총서 | 280쪽 | 1만 7000원저자는 과학자가 아니라 철학자다. 인문학을 전공했기에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진단하고 정확히
뇌
의 어느 부위에 문제가 있는지를 찾아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뇌
자도로 통증을 느끼는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FEC의 지원이 필요한 셈이다.충북대의 오제이 전자 분광기도 고가특수연구기기지원사업의 도움을 받은 기기다. 충북대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