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라며 “임산부가 신종플루에 걸려 고열을 겪으면 태아의
뇌
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6개월 이하의 유아는 면역력 자체가 거의 없어 태어나기 전 엄마로부터 물려받은 항체에 의존한다”며 “임산부가 신종플루 백신을 접종받으면 유아도 항체를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박사는 “첫인상을 결정할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은 낯선 상대를 만나면
뇌
에서 순간적으로 상대가 나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아닌지 판단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첫인상을 판단할 때 활성화된 또 다른 부위인 후대상회는 경제적인 판단이나 보상에 대한 판단을 하는 곳이다. 펠프스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
뇌
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보통 사람은 달력을 보지 않고서는 주어진 날짜의 요일을 알아내기 어렵다. 자폐와 같은
뇌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10% 정도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이라는 특수한 재능을 타고 나서 수백 년 전 특정 날짜의 요일을 즉각 알아내기도 한다.물론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요일 알아내기 공식’이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이됐는지, 수술 부위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뇌
를 촬영해
뇌
혈관 질환이나 간질을 진단하고, 항암 치료 효과나 수술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PET-CT의 진단 영역은 무궁무진하다.현재 국내에 있는 여러 병원에서는 암 같은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데 PET-CT를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 보건당국은“역학조사결과 사망자 대부분이 고혈압이나 당뇨병,
뇌
경색을 앓고 있었다”고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 부하령 박사도“신종플루가 유행하면서 독감 주사를 맞는 고위험군 노인층이 증가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통계적인 착시일 수 ... ...
방금 따른 맥주가 맛있는 이유, 탄산 ‘맛’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나타나지 않는다는 얘기다.연구팀은 “탄산은 신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를 자극시켜
뇌
까지 감각정보를 보내는데, 여기에는 몸 속 물질인 ‘탄산 탈수소효소-4’가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탄산 탈수소효소-4는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효소로 신맛을 느끼는 미각세포에 분포한다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연구결과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기슬러 박사팀은 원숭이의 척수와
뇌
의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신경다발인 척수시상로(STT)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섬유에 전극을 부착해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연구팀이 히스타민을 원숭이에게 주입하자 원숭이는 가려움을 느끼고 몸을 긁기 ... ...
3Q로봇블록과 함께 생체모방 배워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위한 전자회로와 프로그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뇌
과학자들도 로봇 개발에 참여한다. 케이블록에서 제작한 3Q로봇블록은 로봇의 기계적인 움직임에서부터 전자회로, 프로그래밍까지 단계별로 차근차근 알려준다. 하나의 제품으로 만들 수 있는 로봇의 종류는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저마다 맡고 있는 냄새 분자에 따라 이동경로를 달리한다. 전기신호가
뇌
로 전달되면,
뇌
에서는 각각의 신호를 조합해 ‘어떤’ 냄새인지를 인지한다.“후각 수용체가 특정 냄새 화학분자에만 반응한다는 점, 수용체가 받은 자극은 전기 신호로 바뀌어 이동한다는 점에서 후각의 인지과정에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