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각
잠시
짧은시간
스페셜
"
잠깐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발견의 뒷얘기가 나와 있는데 꽤 흥미롭다. 먼저 말라리아약 개발의 역사를
잠깐
돌아보자. 수천 년(기록만 따져서) 동안 말라리아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던 구대륙의 사람들은 남아메리카 주민들이 키나라는 나무의 껍질을 열병의 치료제로 이용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됐다. 그 뒤 프랑스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효모는 연구자들의 의도대로 이 반응을 진행해 아르테미신산을 생산했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세 번째 단계가 대장균에서 일어나기는 힘들었을 텐데, 이 효소들이 식물의 소포체 막에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실제 효모에서도 소포체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핵생물인 대장균은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혈관(정맥)에 나란히 림프관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네이처 제공 먼저 림프계에 대해
잠깐
알아보자. 순환계 하면 우리는 혈관을 떠올리지만 사실 우리 몸에는 혈관만큼이나 복잡한 림프계 네트워크가 퍼져 있다. 림프계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 하나는 혈관에서 나오는 유출물을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우리나라의 첫 번째 감염자인 68세 남성은 어떻게 옆에서 간호를 한 가족은 물론이고
잠깐잠깐
들러 진료를 한 의료진까지 17명을 감염시킬 수 있었을까. 이런 사람을 수퍼전파자(super-spreader)라고 부른다. 즉 체액에 바이러스가 유달리 고농도로 존재하고 가래 같은 분비액도 많아 주변 사람들에게 ... ...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열교환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 원자로 쪽 순환계통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밸브를
잠깐
열었는데, 이 밸브가 열린 채로 있었던 것이다. ‘가압수’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 TMI와 같은 유형의 원자로는 높은 압력을 유지하여 물이 높은 온도에서 끓도록 해야 냉각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 ...
[법성포에서 원자력을 만나다1] 영광 강태공들의 명소, 원자력 온배수낚시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0
자리를 지킨 몇 안 되는 낚시꾼들은 ‘물 반 고기 반’이라고 입을 모은다. 사진을 찍는
잠깐
사이에도 듬직한 숭어 한 마리가 딸려 올라온다. 쉴 틈 없는 손맛을 보기에는 이만한 곳이 없다. “생각보다 잘 잡혀요. 이만한 낚시터 찾기도 쉽지 않죠.” 사실 온배수로 낚시터는 오래 전부터 최고의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몇 줄 읽는 순간 필자는 ‘아차’싶었다. 그 이유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이리신에 대해
잠깐
언급한다. 이리신은 아미노산 112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로 인슐린이나 렙틴 같은 펩티드(작은 단백질) 호르몬으로 분류한다. 다만 특이하게도 이리신은 FNDC5라는 막단백질이 잘린 조각이다. 즉 운동을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게임을 주로 즐긴다. 하루 종일 끊임없이 뇌를 통해 무언가를 하기 바쁜 현대인들에게
잠깐
씩의 멍 때리기가 절실한 셈이다. 멍해 있는 것은 뇌에 휴식을 줄 뿐 아니라 자기의식을 다듬는 활동을 하는 기회가 되며 평소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영감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있는 물분자의 중수소/수소(D/H)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담은 논문이 필자의 주의를 끌었다.
잠깐
읽어보니 혜성 67P의 D/H비율이 0.00053으로(수소원자 10만 개 당 중수소원자가 53개라는 뜻) 지구의 D/H비율 0.00015보다 훨씬 높아 혜성이 지구 물의 기원일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지난해 8월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옆 그늘진 곳 자리 잡았다. 이에 태양 전지판이 전기를 만들지 못해 배터리의 방전으로
잠깐
탐사 활동을 진행한 후 신호가 끊어지고 말았다. 추후 이 지역에 태양빛이 들어오게 된다면 필레가 다시 살아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혜성이 점차 태양에 가까워짐에 따라 표면에서 가스와 먼지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