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각
잠시
짧은시간
스페셜
"
잠깐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
2016.04.04
꽤 있는 것 같다. 얼마 전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 북유럽의 국회의원을 취재한 프로그램을
잠깐
봤는데 수수한 모습이 딱 보기에도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청렴도가 높은 것 같았다. 반면 몇몇 나라의 부패 정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 나라별로 자기기만 정도 차이 있어 학술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걸 알았다. 즉 동물의 도구와 구석기인의 도구는 차원이 다른 얘기라는 말이다. 여기서
잠깐
구석기에 대해 알아보면 오늘날 칼의 역할을 하는 박편을 주로 만들던 시대를 ‘올도완 문화’라고 부르는데 26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주먹도끼처럼 진일보한 타제석기를 만들던 시대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자서전이라고 한다. 한 번 읽어보고 재미있으면 아는 출판사에 번역서를 제의해볼까
잠깐
생각해봤다. 그런데 서평이 실리고 3개월이 지난 ‘네이처’ 3월 5일자에 칼 제라시의 부고가 실렸다. 제라시가 올해 1월 30일 지병으로 타계했다는 것. 따라서 그가 죽기 3개월 전인 지난해 10월 출간된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기반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불안한 출발선에서 좋은 결과를 내느냐를 가르는 것은 '
잠깐
근데 이 사람은 나랑 다를 수도 있잖아'라는 수정작업을 거치는가의 여부이다.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는 사람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아이와 어른의 차이가 바로 이 수정 작업에서 나타남을 보여주는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으로 원래 장기이식환자들에게 투여하는 면역억제제로 개발된 물질이다. 여기서
잠깐
노화지연연구의 역사를 살펴보자. 지금까지 동물실험을 통해 노화지연효과가 인정된 방법이 꽤 있다. 먼저 칼로리제한으로(소식 또는 간헐적 단식) 많은 동물에서 노화지연과 수명연장이 나타났다. 운동도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
2015.11.24
5분이라는 시간은 대부분 우리 일상에서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업무 중간에
잠깐
화장실에 다녀오거나, 커피 한 잔을 타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또는 끓는 물에 라면을 넣고 면이 익길 기다리는 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5분이라는 시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순간도 있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보통 뜨거운 물에 손을 넣으면 금방 화상을 입지만, 그와 같은 온도의 수증기는
잠깐
이지만 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온도가 같더라도 같은 부피 안에 고온의 입자 수가 적으면 열전달이 천천히 일어나는 원리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실험을 할 때, KSTAR 내부에 있는 고온의 입자의 수는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015년은 파지가 발견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많은 사람들에게 파지는 중고교 생물 시간에
잠깐
들어본 게 전부일 것이다. 그리고 과학계에서도 파지는 분자생물학 초창기에 반짝 인기를 끌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파지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구 생태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파지를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환경, 즉 좁은 공간과 무중력(미세중력) 상태에서 500일을 버텨야 한다(중간에 화성에
잠깐
내려 바람을 쐬기는 한다). 이 과정에 급박한 상황이 생겨도 지구와 실시간으로 소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NASA에서도 화성탐사의 성공여부가 기술도 기술이지만 ... ...
인공태양에 필요한 중수소와 삼중수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1년 동안 사용하는 에너지인 약 1017W를 만들어내는 셈이다. 태양은 이런 수준의 에너지를
잠깐
도 아니고 수십억 년 동안이나 끊임없이 생산해왔다. 핵융합의 또 다른 장점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다. 핵융합과 비슷해 보이는 핵분열 반응은 무거운 방사성 원소를 쪼개어 새로운 방사성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