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앱을 이용해 자신이 사는 지역에 서식하는 매미, 제비 등 16개 생물종의 사진과 영상, 위치 정보 등을 기록해요. 과학자들은 대원들이 남겨준 데이터를 연구 자료로 활용합니다. 특히 올해는 청개구리, 거미, 멧밭쥐, 반려견 등 11개의 특별 프로젝트 연구가 더해졌습니다. 또 일본 히로시마에서 ... ...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똑똑해서 유명했던 아이가 자라 성공을 했고, 심지어 행복하다고 말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똑똑한 아이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타고난 재능이 아닌 ... 하잖아요. 전 특별한 목표는 없습니다. 단지 기회가 왔을 때 무언가를 잘 해낼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싶어요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질량이 예상보다 무겁다는 결과가 나왔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보통 은하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지금까지 가까운 우주의 은하와 그 내부 블랙홀을 연구한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과 은하의 질량 사이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발견됐다. 은하가 무거울수록 그 중심부에 있는 거대질량 블랙홀도 더 ...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고정한 시간의 비율, 시선을 고정한 빈도, 시선이 이동한 횟수, 전체 영역별 시선 고정 위치 등을 알려줬다. 결과를 확인해 보니 게임을 하는 기자의 시선은 주로 자신의 챔피언과 상대방의 챔피언에 집중됐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게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맵을 확인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 ...
- [4컷 만화] 수도사의 월식 기록으로 중세 화산 폭발 시기를 알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 화산이 폭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 개기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이에요. 개기월식 때 달은 자주 검붉게 보여요. 햇빛 중 파장이 긴 붉은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해 지구 그림자 뒤에 있는 달까지 전달되거든요. 하지만 화산이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가까워 다른 행성과 다르게 누워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지구와 천왕성의 위치에 따라 극지방과 적도를 모두 관찰할 수 있죠. 최근 공개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에서는 천왕성의 극지방과 고리의 모습, 그리고 위성들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지난 4월 6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햅틱,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천체를 가리거나 그림자를 드리우는 현상을 뜻합니다. 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는 ‘삭’일 때 일어나며, 지구에서 볼 때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입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순서대로 일직선으로 놓여 있을 때, 즉 달이 ‘망(보름달)’일 때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며 ... ...
-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붙인 이야기가 좋아요. 명왕성의 예를 들어볼게요. 사람들은 명왕성의 크기, 위성, 온도, 위치 이런 것들이 아니라 이 행성의 감정을 궁금해해요. 명왕성이 행성 명단에서 쫓겨나면서 가족을 잃어 쓸쓸하진 않을지 생각하죠. 고등학생 시절, 뉴호라이즌스호가 찍어 보낸 명왕성 사진을 보고 ... ...
- [최신 이슈] 해결 못한 후쿠시마 오염수 의문들 AS 해드림!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때는 오염수의 양이 약 9천 t(톤)으로 상대적으로 적었고, 발전소가 강 옆에 위치해 배출 시 희석의 효과가 적어 공기 중으로 배출했습니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경우 원전에 콘크리트를 부어 매장했습니다. 원자로 용기 상부 뚜껑이 날아갈 정도의 큰 폭발로 원자로와 원자로 건물이 크게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대뇌에서 많이 생긴다. 이것들을 최신 분자유전학적 기술로 분석해보니 암이 발생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유전적 돌연변이와 각각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진대사물질도 확연하게 다르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졌다. 이에 비정상적 신진대사물질을 찾아 후성유전학적 암 발생 요인을 조절하는 연구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