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2호가 내려보낼 첫 번째 신호를 기다리기 시작했습니다. 인공위성이 스스로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방향 비콘 신호를 위성이 남극 세종 과학기지의 통신 가능 영역을 지나갈 때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했습니다. 그런데 예정된 시간이 지나도 비콘 신호가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인공위성에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움직였다. 우리는 훈련받은 대로 행동했다. 팀을 짜 교대로 관리실을 지켰다. 우주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운석 등의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지 살폈다. 작업을 반복하다 보면 지구에서 벌어졌던 일은 지난 생의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따금 모니터 너머의 검은 우주를 볼 때면 지아를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상황입니다. 특히 이곳은 지어진지 오래되어 시설이 낡고 면적이 크지 않은데,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전체 동물원 면적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제한된 공간에서 장기적으로 전시동물들의 종류와 수를 줄여 집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계획입니다 ... ...
- (광고) 마법 세상에 위기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말썽을 피우기 시작했어.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퓨리티리티 퓨리티위치 퓨리티리티 츄~!” 톡톡! 양쪽 신발코에 우산을 두드리면 마법 세계로 이동하고, 주문을 외우면 마법사로 변신할 수 있어. 얼른 마법으로 꼬미펫들을 치유해야지. 나는 과연 무사히 꼬미펫들을 정상으로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연구 결과의 중요성에서나 ‘역대급’ 으로 꼽힙니다. 연구팀은 유전적 변이의 빈도와 위치를 밝히는 연구방법인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을 통해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의 SNP 지점들을 찾아냈습니다. 그 결과 키라는 표현형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40%까지 밝힐 수 있었죠. 앞서 유전율의 개념이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doi: 10.1038/s41586-023-05843-w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M87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2019년 국제 연구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이 처음으로 촬영했다. 이번 관측은 미국 9개, 유럽 6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국제 밀리미터 초장기선 간섭계 관측망(GMVA)과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틈에 맞춰 형태와 자세를 조정했다. 로봇이 모양을 바꾸면서 이동할 수 있고, 토양 틈에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루카 세치니 이탈리아기술연구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씨앗 로봇은 전선과 배터리 없이도 토양 표면 탐사와 모니터링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며 ...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과학동아 l2023년 06호
- doi:10.1002/soej.12524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투구 위치, 심판의 판정 등 1만 8907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실제 투구 결과와 비교했다. 투구가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는 메이저리그의 투구 추적 기술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판정 정확도에 심판의 나이, 경력, 기온 등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화성의 하루는 지구만큼이나 분주하게 굴러간다. 2023년 6월부터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위치한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에서는 아주 특별한 실험이 시작된다. 실험의 이름은 CHAPEA(Crew Hea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유사 탐사 시 선원 건강 및 수행능력). 인간이 화성 기지에서 살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더 많은 과학 분야가 협력과 경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하며 세상을 바꿀 새로운 재료를 탄생시킬 수 있길 바라며 6개월간 이끌어온 ‘초(超)재료’ 연재를 마친다. ※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초(超)재료’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