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교수의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이휘소상을 받아서 영광이에요. 대학원생이었던 1973년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과 학생이 이휘소 박사의 논문을 읽었던 것으로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접하기는 어렵다. 이날 학생들은 바이오세상에듀 본사에 위치한 클린룸에 직접 들어가보는 경험도 했다. 생명과학 연구현장에서 사용되는 제품들과 배지를 생산하는 시설을 견학한 것. 학생들은 다양한 설비와 제품 생산 과정을 피부로 느꼈다. 수업에 참여한 양선민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동아 랩투어가 10월 27일 개최됐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독자 7명이 광주 북구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에서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를 눈으로 확인했다.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2016년 4페타와트(PW1PW는 1000조 W) 출력의 레이저를 개발하면서 세계 최고 출력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기회 제공 10월 30일, 부산에 위치한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본관.1층 로비에는 피아노와 재즈 기타로 연주하는 ‘어텀 리브스’의 선율이 잔잔하게 울려 퍼지고 있었다. 학교의 인문예술학부가 진행하는 점심 콘서트였다. 둥글게 모여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태양 빛을 반사해 빛을 냅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달의 밝기는 지구와 태양, 달의 위치에 따라 변해요. 태양 빛을 달이 모두 받으면 보름달, 절반만 받으면 상현달이나 하현달을 볼 수 있지요. 태양 빛을 거의 받지 못할 때 밝은 부분이 오른쪽이면 초승달, 왼쪽이면 그믐달이 됩니다. 이를 ‘달의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욤 패트리 씨가 특유의 공간지각 능력을 발휘해 퍼즐을 잘 맞추더라고요. 관건은 특정 위치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유일한 조각을 찾아내는 거예요. 그것만 찾으면 전체 조각 개수 n에서 한 조각을 뺀 n - 1 조각의 조합을 찾으면 되거든요. 조각 중에 혼자만 뾰족한 각이 있거나 특이한 곡선이 있는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계열의 파장이 나온다”며 “모기는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로 우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우리 피부가 띠는 색상의 파장을 눈으로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중이’, 가장 안쪽의 ‘내이’로 구성되는데, 달팽이관은 귀의 가장 안쪽인 내이에 위치합니다. 달팽이관 내부에는 액체 성분의 림프액과 청각 세포가 있어요. 공기나 물 등의 매질을 진동시키는 파동인 소리가 귀로 들어오면 진동이 고막을 두드리며 뼈를 타고 달팽이관까지 전달됩니다. 진동은 ... ...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콘티를 확인하며 그에 맞는 장면을 담기 위해 어디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할지, 적당한 위치를 바쁘게 찾아 다녔습니다. 촬영을 담당한 박채원 학생은 “과거의 주인공은 밝고 희망이 있다면 현재의 주인공은 안락사를 원하는 쓸쓸한 사람이라는 점을 조명을 통해 소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통계만 포함되어 있고 기하 영역이 빠져있어요.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안에서의 도형, 위치, 크기, 방향 등의 관계를 탐구하는 기하는 현대 과학 기술, 특히 컴퓨터 그래픽스, 로봇공학, 항공우주 공학 등 많은 분야에서 필요한 기초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핵심 교과입니다. 수능은 학교 현장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