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만들어진 다양한 소리가 섞인 결과물이에요. 사람마다 이 소리의 울림이 달라서 고유의 목소리를 가지게 되죠.그러면 헬륨은 목소리를 어떻게 바꿀까요? 헬륨 기체는 대부분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지구의 대기보다 약 3배 가벼워요. 이렇게 가벼운 원자들은 같은 에너지로도 더 많이 진동할 수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모티콘이라고 부르지요.이모티콘과 달리, 이모지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그림 문자예요. 컴퓨터에서 쓰이는 표준 언어 코드인 ‘유니코드’에 입력되어 있어 여러 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요. 이모지는 일본의 디자이너 구리타 시게타카 덕분에 세상에 널리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몇 살일까 궁금하지 않니?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해요.잉어목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고유종 ‘빅마우스 버팔로(Ictiobus cyprinellus )’라고 해. 이름처럼 큰 입을 가지고 있어. 입이 앞으로 툭 튀어나온 것도 특징이지. 우린 민물고기 중에서도 몸집이 꽤 큰 편이야. 몸길이가 약 1.25m이고 체중은 36kg이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뇌 고유의 기능을 재생시키지는 못했지만,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진 신경세포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강철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합금이다. 강도, 연성, 자성, 내열성 등 철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인위적으로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철’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 탄소가 0.3~2% 함유된 경우 강철로 정의하지만, 0.3% 이하인 스테인리스강이나 내열강 등도 강철에 포함된다. 그중에서도 주변에서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19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자기를 복제하는 것은 생물의 고유한 능력으로, 기계가 절대 흉내낼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 이런 선입견을 깨고 처음으로 자기 복제 로봇을 논리적으로 증명한 사람이 바로 컴퓨터의 아버지,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다. 노이만은 연구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리고 정신적 상태에 대해 이해하는 선천적인 능력에 대한 이론이다.이와 같은 인간 고유의 특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살아 있는 사람의 뇌를 관찰해야 했다. 1970년대 자기공명영상(MRI), 양전자단층촬영(PET) 등 뇌 촬영기법이 개발되면서 사고로 뇌가 손상된 환자의 뇌와 정상인을 ... ...
- ebay에 경매로 나온 명품 공룡 화석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연구된 화석이 어느 박물관에 보관돼 있는지 필수로 기록해야 한다. 그리고 그 화석에는 고유 식별번호인 ‘표본번호’가 주어진다. 고생물학자에게 화석은 멋진 장식품이나 보물이 아니다. 도서관의 책과 같은 사료인 셈이다.하지만 화석이 누군가의 안방이나 거실에 있으면 연구할 수 없다. ...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지금은 단추 모양의 돌기가 있어 여러 블록을 결합할 수 있는 플라스틱 브릭을 뜻하는 고유명사처럼 쓰고 있습니다. 이후 ‘브릭 아트’ 또는 ‘레고 아트’라는 말이 생겼으며, 이렇게 브릭으로 전문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브릭 아티스트’ 또는 ‘레고 아티스트’라고 합니다. 이제는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서울대 생물정보및집단유전학 연구실 연구원이 VGP의 유전체 분석 기술을 이용해 한국 고유종 민물고기인 큰볏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agnuspinnatus)를 연구하고 있다. 큰볏말뚝망둥어는 멸종위기종이기도 하지만 갯벌 위를 펄쩍펄쩍 뛰어다니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어류가 육지동물로 진화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