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d라이브러리
"
고유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연구팀은 퇴적층이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조사했고, 운석이 충돌할 때 만들어지는
고유
한 충격파로 ‘평면 변형 구조(그림❶)’와 ‘원뿔형 암석 구조(그림➋)’가 남은 것을 확인했지요. 또 분지의 호수 퇴적층 속에서 발견한 숯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한 결과, 운석 충돌이 약 5만 년 전에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는데요,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서로 다른 차원에 반응하는
고유
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죠. 이때 질문과 답은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숫자와 연산으로 나타내야 합니다.여기서 각 차원에서의 정보를 의미하는 숫자들은 행과 열을 따라 사각형 형태로 배열하는 행렬을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시개 지도’라고 합니다.신경과학자들은 망막 신경절 세포와 시개의 세포에는 각각
고유
한 화학적 라벨(표시)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저 스페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제시한 ‘화학친화력 가설’입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가 특정 화학적 라벨과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동물의 생전 움직임과 행동을 알 수 있게 해준다”며 “죽음을 말해주는 뼈와는 또 다른
고유
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투포환 선수 출신인 그는 1980년대부터 남해안 발굴 현장에서도 매일 아침 조깅을 하며 체력을 키운 것으로 유명하다. 이렇게 다진 강인한 체력으로 70세란 적지 않은 나이에도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그 가능성을 소개한다. 인간 몸 속에는 10만여 종의 단백질이 존재한다. 모든 단백질은
고유
한 3차원 구조와 그에 맞는 기능을 가진다.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면 그 기능까지 유추할 수 있어 신약 개발의 속도를 크게 앞당길 수 있다 1900년대 초 양자역학의 탄생을 지켜본 물리학자들은 행운아였다.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주소를 입력할 때 앞에 ‘www’가 붙는 걸 본 적이 있을 거예요. ‘www’는 URL이라는
고유
한 주소를 이용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이에요.www는 CERN에서 개발됐어요. CERN은 1980년대까지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에 나눠 저장하는 바람에 하나의 정보를 찾으려면 수많은 컴퓨터를 뒤져야 했어요. 그러다 보면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이를 ‘생체인식기술’이라고 하지요. 신체의 특징으로 인증하는 잠금 방식은 사람마다
고유
한 특성이 있어 누가 몰래 가져다 쓰거나 분실할 위험이 적어요. 여러 분야에서 많이 많이 활용되고 있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멀면 어둡게 보이고, 어두운 별이라도 거리가 가까우면 밝게 보일 테니까요. 실제 별의
고유
밝기는 ‘절대등급’으로 나타내요. 절대등급은 모든 별을 10파섹(32.6광년)의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 밝기를 등급으로 나타낸 거예요. 태양의 절대등급은 4.8이고, 북극성의 절대등급은 -3.6이에요.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되살릴 방법은? 구상나무의 개량종은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지만, 정작 구상나무
고유
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2013년부터 ‘위기’ 단계로 분류한 멸종위기종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구상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말라죽은 구상나무 개체수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유일하다. 현재 아리랑 위성을 활용한 극지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기관
고유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원격탐사 연구에서 후발주자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사상 최대 규모의 북극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인 ‘모자이크(MOSAiC)’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