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나나이라는 이름이 붙은 피지 매미(Raiateana knowlesi)는 8년마다 피지에서 발견된다. 피지 고유 매미는 약 19종이 있는데, 이 중 나나이 매미만 8년의 고정 주기를 갖고 있다. 인도에 서식하는 주기매미(Chremistica ribhoi)는 4년마다 지상 밖으로 나온다. 때마침 월드컵이 열리는 주기와 일치해 인도에서는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적당한 곳인가요?」다시 랄로랑이를 내려다본다. 자철석이 풍부한 랄로랑이는 지역마다 고유의 자기장이 있다. 자기장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랄로랑이언은 자기장의 복잡하고 아름다운 곡선을 도시와 건물, 기술과 문화 속 곳곳에 심었다.“저들에겐 자신들을 포함한 모든 게 랄로랑이가 품은 현상의 ... ...
- [JOB터뷰] 본캐는 변호사! 부캐는 캣맘입니다! 채수지 변호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위해 동물들에게 좋지 않은 환경을 제공하도록 만드니까요. 이를 해결하려면 동물이 고유의 습성을 보존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곳만 동물원으로 인정하도록 ‘동물원 허가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환경부는 누구나 동물원을 등록할 수 있는 ‘동물원 등록제’를 허가제로 바꾸려고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유입은 지난 75년간 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륙마다 혹은 나라마다 고유하게 유지되던 생태계 다양성이 사라지고 전 세계가 비슷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경향도 확인됐다. 사연도 각양각색 국내 침입종외래종 가운데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인 침입종도 꾸준히 ... ...
- 에어택시, 하늘이 일상으로 들어오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UAM 기체는 소형 항공기 인증에 해당하는 미국연방항공규정 파트 23의 요구조건과 eVTOL의 고유한 특성을 적용한 특수 조건 G1을 통과해야 한다. G1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도시풍 역시 UAM 이착륙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위험 요소다. 특히 터미널을 건설할 때 안전 문제를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것이다.한 예로 약 4만 5000년 전 불가리아의 바초 키로 동굴에 살던 사람들에 대한 최신 고유전체 분석 결과는 놀랍게도 이들이 동아시아인 계통에 속해 있었으며, 톈위안 계통이 바초 키로 계통과 구석기 유럽인 계통의 혼합임을 나타냈다. 바초 키로 집단을 포함한 초기 동아시아인 계통 사이 ... ...
- [과학뉴스] 35년 만에 다시 나타난 흰수마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1급 희귀종인 흰수마자를 발견했다는 소식을 전해왔어요. 흰수마자는 잉엇과의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금강이나 한강, 낙동강 등에 살았어요. 입 옆에 난 수염이 흰색이라 ‘흰 수염이 난 민물고기’란 뜻의 흰수마자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미호천에서는 1986년 마지막으로 목격된 후 자취를 감췄고요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이야기들의 모방에서 끝나지 않도록 고유의 독창성도 갖춰야 한다.자연스럽게 음악이 지닌 본질에 대한 질문이 생겼다. ‘음악이 우리를 소통하게 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수없이 많은 음악 가운데 우리는 어떻게 새로움을 발견할까’ ‘음악에 있어 ...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은 고대 인도의 종교 문헌인 베다 경전을 통해 발전해온 인도 고유의 수학입니다. 재미있는 수학의 원리가 숨어있는 ‘베다 방진’을 만들고 다양한 모양의 베다 도형을 그려보며 수가 지닌 특성을 알아봅시다. 베다 경전(위 사진)은 기원전 1500년경 중앙아시아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반응하는데, 이 자극의 크기를 임계값이라고 합니다. 인공 뉴런에서는 각 입력 신호에 고유한 가중치가 부여되는데, 가중치가 클수록 해당 신호가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입력 신호(xi)를 미리 부여한 가중치(wi)에 따라 계산한 후, 그 총합이 정해놓은 임계값을 넘으면 1을, 넘지 못하면 0을 출력합니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