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니
스완
백로
해오라기
d라이브러리
"
백조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07
여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거문고자리의 직녀성과 독수리 자리의 견우성, 그리고
백조
자리의 꼬리별 데네브를 중심으로 화려한 은하수가 펼쳐져서 빛나며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이 달에는 아마추어들이 별을 보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상과 투명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06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백조
자리 근처에는 강력한 블랙홀이 도사리고 있다는 여러가지 증거가 최근에 보고됐다.한편 초신성 폭발은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데 밑거름이 된다. 초신성은 폭발하면서 무거운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06
서쪽하늘로 기울기 시작한다. 밤이 깊어가면서 동쪽하늘을 목동 헤르쿨레스 거문고
백조
자리 순으로 양보하며 사라져 가는 것이다. 이때 남쪽하늘에서는 화려한 성운 성단의 보고인 전갈자리와 궁수자리가 봄에 허전했던 공간을 차지하며 아마추어들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6월4일 개기월식이달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04
변광성인데 이것의 밝기가 이번달에 극대가 되므로, 사진을 찍어서 옛날에 찍어놓은
백조
자리 사진과 비교해보면 별의 크기가 커졌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유성우달이 없는 22일 밤 펼쳐질 거문고 자리의 유성우는 기원전 687년에 중국인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유명한 혜성 대처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03
블랙홀 등의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관측된 X선원 중 Cyg X-1(
백조
자리에서 첫번째로 발견됨) LMC X3(대마젤란 은하에서 세번째로 발견됨) A0620-00(Ariel 위성으로 관측됨) 등은 거의 확실한 블랙홀의 후보로 알려지고 있다.X선망원경으로 관측된 결과는 전파망원경과 마찬가지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12
알 수 있다.2백억년과 1
백조
년 사이의 비율은 1만분의 1정도다. 그러므로 은하들이 1
백조
년이 아닌 2백억년 내에 탄생할 수 있다는 주장은, 마치 "정상적으로 10개월이 걸리는 아기의 탄생을 30분만에 해결할 수 있다는 억지"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아직도 만족할만 한 해가 없는 이 난제는, 흔히 우주의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12
등성 엡실론(ε)별로 인해 매우 관심이 가지는 별자리. 이 별은 고래자리의 타우(τ)별이나
백조
자리의 61번 별과 함께 생명체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가진 곳이다. 이 별은 지구와 같은 행성을 가지는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별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아직 특별한 징조는 없지만 생명체가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11
알려졌는데 이는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백조
자리 X-1을 검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쌍성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X선원 중에는 동반성의 질량이 9M⊙인 것도 관측되어 검은 구멍의 존재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지게 되었다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10
가장 유망한 대상으로는 고래자리 타우(τ)별과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ε)별, 그리고
백조
자리 61번 별을 잡고 있다. 1960년 6월에는 지름 26m짜리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파장 21cm의 전파(1천4백20MHz, 은하계내의 수소원자가 발하고 있는 파장)를 직접 이 항성들에 보냈으나 반응은 없었다.현재는 이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10
빛으로 변형된다. 다행스럽게도 우린 이 X선들을 감지할 수 있다.우리의 은하계에선
백조
자리의 한 별로부터 X선이 지난 1965년에 처음으로 탐지됐다. 1971년에 이르러 X선의 비규칙적 변형이 발견됐다. 이러한 발견이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시그너스 X-1이라 불리는 별이 나란히 회전하는 거대한 푸른 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