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니
스완
백로
해오라기
d라이브러리
"
백조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지질구조의 크기나 모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크레이터의 주위에는
백조
와 같은 다량의 방사상 물질이 분포한다. 이러한 사실은 크레이터 형성이 함몰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또한 수천 km나 떨어진 장소에 방출 파편에 의한 2차 크레이터가 형성되거나 하는 것은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잠시 눈을 떼면 금방이라도 져버리려 한다. 북극성을 바라보며 그 근처에서 보게 되는
백조
자리는 한여름에 천정에서 볼 때와 달리, 이 별자리가 상당히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달 북쪽하늘에서 가장 뚜렷하게 볼 수 있는 별자리는 서쪽으로 치우친 곳의 카시오페이아와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12
대삼각형을 이루는 것 중 거문고자리의 베가(직녀별)는 이미 져버렸지만 독수리자리나
백조
자리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처럼 겨울의 서쪽하늘에서 여름의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볼수 있는데, 새벽녘 동쪽하늘까지 관측한다면 어느 별자리까지 볼 수 있을까?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11
폭발하여 중심부에 태양질량의 1.4배인 중성자별의 펄사를 만들어 놓았다.한편 1972년에
백조
자리에서 HDE226868이라 불리는 9등급의 청색 초거성 주위에서 강한 X선의 방출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X선의 강도와 스펙트럼의 주기적 변화로부터 이 별 주위에는 질량이 태양의 10배쯤 되는 검은구멍이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11
수 없다는데 어떻게 블랙홀을 관측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한다. 대표적인 블랙홀 후보인
백조
자리 X-1의 예를 들어보면 이 별과 쌍성을 이룬 HDE226868이 X-1에 끌려들어오면서 블랙홀 주변에 원반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에너지의 X선이 방출된다. 이를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11
계절이다.밤하늘에서의 변화도 이에 못지 않다. 여름을 대표하던 거문고 독수리
백조
자리는 서쪽으로 물러나 있어 지평선 위에서 내년을 기약하며 고별행진을 하는 느낌이다. 가을의 사각형을 이루는 페가수스와 안드로메다는 이미 중천을 날며 동쪽하늘을 화려한 겨울철의 1등성들에게 양보하게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궤적이 확실하게 드러났으나 인천 가정동에서 찍은 사진은 북극성 하나만이 나타났다.또
백조
자리 데네브별을 중심으로 한사진은 관측조건에 따라 어느 정도 노출시간을 주어야 천체 사진이 잘 나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로 활용됐다. 즉 A급 관측지의 적정노출시간(별사진이 가장 잘 나오는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09
이태형씨의 '손쉽게 관측하는 여름밤 별자리'. 우리에게 익숙한 직녀 견우별과
백조
자리의 데네브가 이루는 여름철 삼각형을 중심으로 여름밤의 별들을 손쉽게 관측하는 방법 등이 소개됐다.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견우별이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겨드랑이 에타별에는 우리나라 천문학박사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09
또는
백조
성운으로 불린다. 가장 밝은 부분은 체크무늬형태다. 상상력을 동원해 보면
백조
모양도 그려낼 수 있다. 너비 0.4도 내에 흩어져 있는 35개 정도의 별을 포함한 성단이 이 성운과 관련되어 있다. 이 성운의 크기는 46분X37분이므로 보름달보다도 훨씬 큰 것이다. 북반구 하늘에서 오리온성운을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08
들로 이루어진 이중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NGC7000밤하늘에서 절대등급으로 기장 밝은
백조
자리의 꼬리별인 데네브의 바로 옆에 위치하는 산광성운으로 북아메리카성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20분×100분이나 되는 너무나도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장파장의 빛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