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니
스완
백로
해오라기
d라이브러리
"
백조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08
능력은 중형컴퓨터의 그것과 맞먹는다고 한다.사람의 두뇌에 수백억개의 신경원이 무려 5
백조
개의 회로로 연결돼 있어 인간만이 지니는 고도의 감각 지각 및 사고능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어떤 사람들은 바로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한 인간의 두뇌가 지니는 연산용량이 지구상에 현존하는 모든 ...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07
데네브란 말은 아랍 말로 '꼬리'란 뜻이다. 은하수 변두리에 거꾸로 날고 있는 듯한
백조
를 상상할 수 있다. ■독수리 별자리 : 이 별자리의 α성은 알테어인데 아랍어로 '난다'라는 뜻이다. 이별 양쪽에 4등급의 β성과 3등급의 γ성이 일직선으로 나열돼 있는 꼴이 독수리를 상상케 한 것같다 ... ...
화학반응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198803
액수이다. 한편 촉매와 관련된 총생산량은 직접적인 것만도 3~5천억달러라 하니 2백~4
백조
원의 시장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촉매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오늘날 우리는 기술개발만이 살길이라고 하는 시대에 살고있다. 특히 자원이 없는 나라에 사는 우리에게 촉매는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01
커 블랙홀에 끌려 들어가는 물질들은 블랙홀의 적도면에서 얇은 원반을 형성하게 된다.
백조
자리 X-1 같은 X선원이나 신성, 왜신성과 같이 쌍성(쌍동이별)의 진화와 관련된 천체들은 모두 얇은 유입물질원반(accretion disk)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유입물질원반은 일찍부터 천체물리학자들의 관심을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08
이 형성된다 (다음 쪽 그림 참조). 이 삼각형의 안에 십자형태로 연결되는 별자리가 바로
백조
자리. 주성인 데네브는 지구에서 1천5백광년 견우성은 17광년, 직녀성은 26광년씩 각각 떨어져있다. 직년성은 특히 여름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며 청백색을 띠고있다. 밤하늘의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04
거성(巨星)이 되는 것은 50억년 후라고 한다. 작은 별일수록 수명이 길지만 ${10}^{14}$년 즉 1
백조
년이 지나면 작은 별도 모두 타버려 빛을 잃게 된다. ${10}^{19}$년 정도 지나면 은하의 증발이 시작된다. 은하의 바깥쪽의 느슨하게 뭉쳐있는 별들로부터 이러한 증발이 시작되는데, 한편 일부의 별은 보다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610
관찰되었다. 한강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모래섬과 자갈섬이 생기자 습지에 서식하는
백조
류가 나타난 것이 특이하다. 또한 수면성 오리인 고방오리 쇠오리 등이 개발로 인해서 줄어든 것이 특이하다. 1985년 관찰된 조류는 총 62종, 4천4백42개체였고 중대백로가 최우점종을 나타냈다으며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10
백두산 일대는 새들의 낙원으로 남한지역에서는 희귀한 새들도 고준지대에 드물지 않게 살고 있다 동북아지역의 대표적인 새들의 낙원백두산 북위 41˚58'~42˚06', 동경127˚56'~128˚06'에 자리하며 중공령 최고봉인 백운봉(白雲峰)은 표고 2천6백91m이며 북한에 위치한 최고봉, 장군봉(將軍峰)은 2천7백49m ... ...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609
${10}^{8}$Ci(큐리) 가까운 방사능이 모인다. 이것은 최대허용 신체부하량인 ${10}^{-6}$Ci의 1
백조
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만약 이 가운에 1천만분의 1(이 정도의 신뢰도는 현대기술의 최고 수준)만 누출되도 1천만명의 허용량이 환경에 방출되는 셈이다. 최근 소련이 IAEA(국제 원자력기구)에 제출한 보고서에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09
배경들의 새로운 발견이 이들을 흥분시켰다. 1972년에 나타났던 X-선을 발생하는
백조
좌의 cygnus X1이 블랙홀의 후보로 나타났었다. 실험 기술의 진보와 함께 은하 밖의 X-선 출처인 연성 LMCX-3도 제2의 블랙홀의 후보로 대두되고 있다. 퀘이사의 발생의 근원을 설명하고자 화이트홀, 초신성 등 여러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