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스페셜
"
에너지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체온을 30도 이하로 떨어뜨리면서 심장은 1분에 9회 이하만 뛰도록 만들어요. 당연히
에너지
대사율도 극도로 낮추고 말이야.” “악! 생각만 해도 너무 춥고 무서워요. 특히나 겨우내 아무것도 먹을 수 없다는 건 정말이지 참을 수 없다고요!” “물론, 말 안 듣는 어린이를 위해 과학자들이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기
에너지
의 대부분을 열로 낭비하는 백열등과 형광등이 점점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로 교체되고 있다. 비싼 돈 들여서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데, 통신기술까지 더하면 1석 2조라는 게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라이파이가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비결은 LTE-A에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티타우리별의 별빛이 핵융합 반응이 아니라 아주 어린 별이 중력수축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
라고 해석했다. 1962년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학술지 ‘천문학 천체물리학 진보’에 발표한 논문은 초기 별 연구의 바이블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허빅은 오리온자리에서 특이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
KOITA
l
2013.12.16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미국 정부는 2000년대 들어 동일한 업무 방식의 연구 조직들을
에너지
부(ARPA-E), 국토안보부(HSARPA), ODNI(IARPR) 등 여러 정부 부처에 추가로 설치했다. 스텔스 항공기의 연구 및 개발 과정은 DARPA의 연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전달 원리를 밝혀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우리의 몸은 호흡이나 소화의 과정을 통해
에너지
를 얻고 이를 각 세포에 전달해서 생명을 유지한다. 때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실어나르기도 한다. 전달의 핵심은 ‘소포(vesicle)’가 쥐고 있다. 소포는 여러 종류의 생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37킬로미터에서 폭발했는데, 이때
에너지
는 TNT 1~2킬로톤 규모로 이번 첼랴빈스키 폭발
에너지
와 비교하면 100분의 1도 채 안 된다. 아쉽게도 소행성이 떨어진 곳은 누비아사막으로 인적이 드문 곳이라 이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현지에서는 밝은 섬광을 봤다는 ... ...
[채널A] 기온 내려가면 다이어트 효과 ‘쑥’
채널A
l
2013.11.25
아침을 먹은 직후에는 체내 생리활동이 왕성하게 일어나 같은 양을 소화시키더라도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입니다. 결국 아침식사를 충실히 하고 저녁은 가볍게 해야 다이어트에 성공한다는 상식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된 셈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 ... ...
[채널A]21번째 화성 탐사선 발사…물·대기 사라진 원인 규명 목적
채널A
l
2013.11.20
자기장이 없어 태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전문가들은 태양에서 떨어져나온 고
에너지
입자들이 화성을 계속 덮쳐 대기층을 서서히 없앤 걸로 추정합니다. ‘메이븐’은 내년 9월 화성 궤도에 도착한 뒤 1년 간 화성 상공을 돌며 화성의 비밀을 풀게 됩니다. [녹취: 찰스 볼든/미국항공우주국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찾은 빅데이터 실험이다. 여기에는 19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오바마 1기 정부의
에너지
부 장관을 지낸 스티븐 추 미시건대 교수가 깊이 개입돼 있다. 평소 아인슈타인이나 호킹의 천재성이 어디에서 비롯됐는가에 관심이 많았던 추 교수는 BGI와 손을 잡고 프로젝트를 계획했다(추 교수는 중국계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뇌가 청소하는 방식과 비슷한 셈이다. 네더가드 교수는 뇌가 이런 일을 하려면 엄청난
에너지
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뇌 활동을 하면서 청소를 병행하기는 어렵다고 추측하고 쥐를 대상으로 깨어있을 때와 잠잘 때 글림프 시스템을 비교해보기로 했다. 그 결과 예상대로 큰 차이를 발견했다. 즉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