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에너지"(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13대 미래성장동력 선정 "융·복합으로 산업 고도화"KOITA l2014.02.13
- 동반성장 부문에서는 △맞춤형 웰니스케어,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고유한 산업 특성을 가지고 대규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또 4대 기반산업은 지능형 반도체, 미래 융·복합 소재, 지능형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 ...
- [채널A]‘테헤란로 vs 올림픽대로’ 이산화탄소 차이는?채널A l2014.02.11
- 신호대기가 많은 정체구간에서는 급출발이나 가속, 정지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차량의 에너지 소모가 커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휘발유, 경유, LPG 자동차 중 휘발유 자동차가 도로 사정에 따른 배출량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을 질소산화물과 ... ...
- `이달의 엔지니어상` 1월 수상자 선정KOITA l2014.02.07
- 혹한지역용 경유 및 바이오 연료 제조 기술개발에도 적극 활용함으로써 국내 정유 및 에너지 산업의 기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기업분야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이성화촉매(Isomerization Catalyst) : 특정한 물질 분자의 성분은 바꾸지 않고 물질의 구조나 배열을 바꾸는 이성화(異性化, Isomerization ... ...
- 기분·몸매·성적도 좌우하는 막강 물질, 호르몬KISTI l2014.02.04
- 효소의 활성도도 떨어진다. 기초대사량은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쓰는 최소의 에너지다. 청소년기에는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잘 찌지 않는데, 이는 기초대사량이 높기 때문이다. 기초대사량이 낮아진 40~50대 남성은 조금만 먹어도 쉽게 살이 찐다. 그렇게 얻은 뱃살은 테스토스테론을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1편]동아사이언스 l2014.01.22
- ◆ MC: 최정문┃서울대 산업공학과 4학년 ◆ 나오는 사람들 ○ 최종근┃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 이동헌┃전북 전주 상산고 1학년 ○ 김윤주┃경기 용인외고 2학년 ○ 조형준┃충북 괴산고 2학년 ○ 송지선┃경기 군포 수리고 1학년 ○ 김수환┃전남 순천고 2학년 ※ ... ...
- [채널A] 육류 섭취 중단…장속 ‘건강 혁명’채널A l2014.01.22
- 절반으로 감소하고 박테로이데테스 세균은 세 배 이상 늘었습니다. 페르미쿠테스는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을 더 찌우는 비만의 원인균입니다.반면 박테로이데테스는 날씬한 사람의 장 속에 많은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뷰 : 김봉수/천랩 생물정보연구소장] ...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KISTI l2014.01.16
- 체온을 30도 이하로 떨어뜨리면서 심장은 1분에 9회 이하만 뛰도록 만들어요. 당연히 에너지 대사율도 극도로 낮추고 말이야.” “악! 생각만 해도 너무 춥고 무서워요. 특히나 겨우내 아무것도 먹을 수 없다는 건 정말이지 참을 수 없다고요!” “물론, 말 안 듣는 어린이를 위해 과학자들이 ...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KISTI l2014.01.16
-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기에너지의 대부분을 열로 낭비하는 백열등과 형광등이 점점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로 교체되고 있다. 비싼 돈 들여서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데, 통신기술까지 더하면 1석 2조라는 게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라이파이가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비결은 LTE-A에도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동아사이언스 l2013.12.30
- 티타우리별의 별빛이 핵융합 반응이 아니라 아주 어린 별이 중력수축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라고 해석했다. 1962년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학술지 ‘천문학 천체물리학 진보’에 발표한 논문은 초기 별 연구의 바이블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허빅은 오리온자리에서 특이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KOITA l2013.12.16
-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미국 정부는 2000년대 들어 동일한 업무 방식의 연구 조직들을 에너지부(ARPA-E), 국토안보부(HSARPA), ODNI(IARPR) 등 여러 정부 부처에 추가로 설치했다. 스텔스 항공기의 연구 및 개발 과정은 DARPA의 연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