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천문
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
대에 있는 에어리 자오환(子午環)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이다11850~1919 독일의 물리학자 제만효과와 고체전자론(固體電子論) 연구로도 알려졌지만, 결정물리학(結晶物理學)의 창설자로 큰 명성을 얻었다이 ... ...
우주의 기원을 밝혀줄 암흑물질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빛을 내지도 행성처럼 별빛을 반사하지도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암흑물질이
천문
학자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각 은하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이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암흑물질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강력한 중력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었다태양면 위에 나타나는 흑점의 다소(多少)를 표시하는 지수 스위스 취리히의
천문
대장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태양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
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주가 되는 역법이지만, 조선의
천문
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
천문
연구원 안영숙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최신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을 활용해 베텔기우스의 맨 얼굴을 담아냈다.이달의
천문
현상2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빛나는 수성2월 초순부터 중순에 걸쳐 수성이 서쪽하늘에서 빛난다. 보통 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다. 수성은 태양이 진 직후나 뜨기 직전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까이 유럽인들이 그의 지도를 사용하게 만든 사람이 있다. 바로 2세기 중엽, 그리스의
천문
학자이자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 그가 150년 경 만든 세계 반구 지도는 거리나 표현에서 틀린 점이 많았지만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표시해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혜성 근일점 통과는 동년 12윌 25일이었고 궤도는 포물선, 궤도 경사 140˚, 근일점거리 094AU(
천문
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꼬리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다전파성 제1호 1946년에 은하전파와는 다른 전파원으로 확인되었고 52년에는 팔로마
천문
대의 5m 망원경으로 그것이 서로 충돌하며 교차하는 두 개의 나사선성운임이 확인되었다태양계에서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양의 반 정도의 ... ...
독일의 커다란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독일의 에펠스베르크라는 조그만 마을에는 지름이 100m, 면적이 축구장 4개 에 맞먹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이 있습니다. 마을 어귀에만 가도 커다란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지름 300m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크기를 자랑하는 이 전파망원경은 당시나 지금이나 ... ...
[
천문
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어렵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행성이 내는 빛은 항성이 내는 빛의 100만분의 1도 안된다.
천문
학자들이 외계행성 찾기를 ‘서치라이트 옆의 반딧불이 찾기’라고 하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적외선을 사용하면 행성과 항성의 밝기 차이가 1000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관측이 가능해진다.연구팀이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