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
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주가 되는 역법이지만, 조선의
천문
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
천문
연구원 안영숙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행성들도 발견되면서 2005년에는 지구 질량 5.5배 정도의 행성도 발견되었다는 것. 한국
천문
연구원 박병곤 박사, 충북대 한정호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도 지난 2005년 5월 목성급 외계 행성을 발견한 데 이어 2006년 3월 해왕성급(지구 질량의 12배)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걱정은 외계 행성이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었다태양면 위에 나타나는 흑점의 다소(多少)를 표시하는 지수 스위스 취리히의
천문
대장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태양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최신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을 활용해 베텔기우스의 맨 얼굴을 담아냈다.이달의
천문
현상2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빛나는 수성2월 초순부터 중순에 걸쳐 수성이 서쪽하늘에서 빛난다. 보통 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다. 수성은 태양이 진 직후나 뜨기 직전 ... ...
화성 탐사선이 화성 생명체를 죽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발표됐다. 미국 워싱턴주립대의 더크 슐츠-마커쉬 박사는 지난 1월 7일에 열린 미국
천문
학회에서 “화성에 사는 미생물은 물과 과산화수소의 혼합액을 체액으로 사용할지 모른다”며 “화성 탐사선이었던 바이킹이 탐사과정에서 미생물을 익사시키거나 태워 죽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까이 유럽인들이 그의 지도를 사용하게 만든 사람이 있다. 바로 2세기 중엽, 그리스의
천문
학자이자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 그가 150년 경 만든 세계 반구 지도는 거리나 표현에서 틀린 점이 많았지만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표시해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혜성 근일점 통과는 동년 12윌 25일이었고 궤도는 포물선, 궤도 경사 140˚, 근일점거리 094AU(
천문
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꼬리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같은 서양
천문
학자가 이룩한
천문
학적 성과와 계산법을 채용한 역법이다. 이들 서양
천문
학자의 연구성과는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중국에 파견된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중국에 전해졌다. 그리고 청나라가 새로운 역법을 채택해 달력을 만들자, 조선에서도 같은 역법을 사용해 달력을 만들었다.1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다전파성 제1호 1946년에 은하전파와는 다른 전파원으로 확인되었고 52년에는 팔로마
천문
대의 5m 망원경으로 그것이 서로 충돌하며 교차하는 두 개의 나사선성운임이 확인되었다태양계에서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양의 반 정도의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느낄 수 있다. 오늘밤 별을 보며 고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는 것은 어떨까.이달의
천문
현상_ 전갈자리의 목성과 화성 1월 동틀 무렵 새벽하늘에는 여름철 별자리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한 겨울에 무슨 여름철 별자리냐고 의아해할 사람도 있겠지만 새벽하늘은 계절을 앞서간다. 여름철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