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체 에너지 '에탄올'과학동아 l2007년 03호
- 90만 광년이며, 따라서 이 소용돌이 성운이 은하 밖에 있음을 입증했다 1929년 '20세기 천문학의 최대의 발견'이라 칭해지는 '허블의 법칙' 즉 거리와 적색편이(赤色偏移)의 관계를 발견했다컴퓨터 언어의 하나로 최근에 개발돼 제 4세대언어라 부른다 실용적인 표현방식, 근대적인 제어구조와 ...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여섯 개로 이뤄졌다. 카스토르는 정말 놀라운 별이다. 이달의 천문현상_태양과 달의 숨바꼭질3월에는 태양과 달의 숨바꼭질이 이어진다. 3월 4일에는 지구 그림자에 달이 숨는 부분 월식이, 3월 19일에는 태양이 달 뒤로 숨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하지만 부분월식은 아침 6시 3 ...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에를랑겐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괴팅겐·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는 천문학을 배웠다 괴팅겐 대학에서 K F 가우스, W E 베버와 알게 되어 그들의 발명인 자침 전신기를 개량했다1832년 뮌헨 대학 교수에 취임했으며 49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의 초청을 받아 통신망을 완성했다 55년 뮌헨에 광학기계 ...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과학동아 l2007년 03호
- 洪正夏)는 중국 수학자와 실력을 겨룬 사람으로 유명하다. 1713년 청나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하국주(河國柱)가 조선에 왔을 때, 홍정하는 그를 찾아가 수학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얻고자 했다.하국주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해준 서양수학을 조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수학자들의 수준을 ... ...
- 새 1만 원 권에 담긴 조상의 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새 1만 원 권에 한국의 천문과학이 가득하다. 한국은행은 새 1만 원 권에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옛날 천문도, 혼천의라는 천문 관측기구, 보현산천문대의 천체 ... 1996년 설립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큰 지름 1.8m짜리 천체망원경이 있다.*천문도 : 별과 별자리의 위치를 그린 하늘 지도 . ...
-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옆 언덕에 있는 대덕전파천문대. 이 곳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지름 14m 전파망원경이 있습니다 ... 2008년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세 망원경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전파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입니다 ... ...
- 우주의 기원을 밝혀줄 암흑물질 지도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빛을 내지도 행성처럼 별빛을 반사하지도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암흑물질이 천문학자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각 은하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이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암흑물질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강력한 중력 ...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있었다태양면 위에 나타나는 흑점의 다소(多少)를 표시하는 지수 스위스 취리히의 천문대장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태양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 ...
- 연이 끄는 화물선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에어리 자오환(子午環)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이다11850~1919 독일의 물리학자 제만효과와 고체전자론(固體電子論) 연구로도 알려졌지만, 결정물리학(結晶物理學)의 창설자로 큰 명성을 얻었다이 ...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최신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을 활용해 베텔기우스의 맨 얼굴을 담아냈다.이달의 천문현상2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빛나는 수성2월 초순부터 중순에 걸쳐 수성이 서쪽하늘에서 빛난다. 보통 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다. 수성은 태양이 진 직후나 뜨기 직전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