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툴리 몬스터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몬스터(Tully monster)’라는 별명을 가진 ‘툴리몬스트룸 그레가리움’은 약 3억 년 전에 존재했던 동물이에요. 특이하게 생긴 외모가 괴물처럼 보인다고 해서 ‘몬스터’라는 별명이 붙었지요. 미국의 아마추어 수집가인 프란시스 툴리가 1955년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처음으로 발견해 그의 성을 따 ...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고치며 면역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건강과 관련한 이야기에서 장내미생물은 초월적 존재처럼 그려지고 있다(이제야 밝혀진 기원을 보니 공통조상으로부터 유래했단다. 인류를 초월해 있는 건 맞겠다). 장내미생물 뉴스만 보면, 인류는 이 미생물의 도움으로 금세 병을 정복할 것 같다.하지만 ... ...
- [과학뉴스] 제5의 힘, 존재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고 추정했다. 암흑물질의 세계와 표준모형의 입자들의 세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힘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펭 교수는 “다섯 번째 힘이 전자기력, 약력, 강력과 더불어 근본적인 힘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추가 실험을 통해 사실로 확인된다면 우주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변할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 이번에 서명한 노벨상 과학자 중에는 인트론(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DNA 영역)의 존재를 밝혀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리처드 로버트, 필립 샤프와 지난해 DNA 복구 기작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토마스 린달도 있다. 생물학자는 아니지만 풀러렌을 발견해 1996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중간 생물을 찾는 것이었다. 틱타알릭은 고생물학자들의 속을 딱 시원하게 긁어주는 존재였다. 약 3억7500만 년 전에 살다 멸종한 물고기로, 3억8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어류와 3억6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원시 양서류를 연결해 줄 절호의 시기에 살았다. 신체 특성도 두 종의 중간이었다.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초반에야 세상에 알려졌기 때문에, 브뤼헐이 살던 시기에는 바벨탑은 그야말로 환상의 존재였다. 그는 신화 속 바벨탑 대신에 로마의 콜로세움을 참고해 그림을 그렸다. 실제로 콜로세움과 브뤼헐의 바벨탑은 닮은 점이 많다. 둘 다 아치로 둘러싸인 원형의 건물이다.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나무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내가 싫은 게 아니라면 사람들에게 이 곡선도 소개해 줘. 외로운 악마에게는 자식 같은 존재란 말이야.”갑자기 친절해진 벨페고르에 안심한 천사는 비밀의 집 이곳저곳을 파헤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누군가 마룻바닥에 감춰 놓은 함정에 빠지고 말았어요. 끊임없이 추락하는 천사, 이 함정은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배타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같은 에너지 상태를 지닌 입자라도 서로 겹쳐서 존재할 수 있다. 만져지지 않는 에너지 덩어리인 셈이다. 이들 보존 입자는 대개 힘을 매개한다. 빛 알갱이, 즉 광자는 보존의 대표적인 예다. 빛은 실험을 해보면 입자의 특성을 보이지만, 질량이 없고 물질을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맞게 낮춘다.수위를 높이고 낮추기 위해 운하의 한쪽에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하지만 워낙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건조한 계절에는 물 공급이 쉽지 않다. 낭비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하고자 파나마 운하는 ‘WSB(Water Saving Basin)’ 시스템을 도입했다.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동하는 매 순간, 기계를 만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 삶에 있어 지배적인 존재다.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등 많은 공학이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다. 지난 8월 5일에 만난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계항공공학은 현대 공학 그 자체”라며 “다른 모든 공학의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