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봤듯이,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반드시 개체군내에 ‘희소하게’ 존재해야만 그 유전자가 선택되는 것은 아니다.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드물든지 흔하든지 간에, 해밀턴의 규칙만 충족된다면 그 유전자의 빈도는 증가한다. 실제로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할데인의 이 글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러했다. 다들 알다시피 K 의원은 이미 잠룡으로 분류되고 있다.올해 초까지만 해도 존재감 없는 X86 그룹의 한 사람에 불과했는데, 상반기 내내 절묘한 처신과 타이밍이 기가 막힌 발언으로 이슈의 중심에 서더니 급기야 깜짝 돌풍을 일으키며 원내대표에 당선되기에 이르렀다.사람이 문장력은 ... ...
- [과학뉴스] 케플러, 외계행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행성을 발견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 행성들 중 지구와 크기가 비슷한 것이 548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이 9개였지요.외계 행성 탐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16년 말이면 활동이 끝나게 돼요. 미국 항공우주국은 외계 행성 탐사를 계속하기 위해 2017년 8월에 케플러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탔는데 폭풍우가 몰아치자 하디는 리만 가설을 해결했다고 전보를 보냈다. 만약 신이 존재하면 거짓을 용납하지 못해 배를 침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하디는 무사히 돌아왔다. 하디와 라마누잔의 아름다운 연구하디가 없었으면 라마누잔도 없었다. 하디만이 유일하게 역사를 바꿀 천재 ... ...
- [과학뉴스] 질투하는 사람은 조직마다 꼭 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실을 알아냈다. 질투형이 30%로 가장 많았고 낙관형, 비관형, 신뢰형이 각각 20%씩 존재했다. 나머지 평균 10%의 사람들은 네 가지 성격 범주에 속하지 않았다.연구팀은 조직에서 특정 유형의 사람이 다수를 차지하면 조직이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어 다양한 유형의 구성원이 ...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사실 과학의 어느 분야든 수학을 쓰지 않는 데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도 이번처럼 수학이 존재감을 화끈하게 드러냈다면, 당연히 독자 여러분도 관심이 생기겠지요?시작은 좋았으나, 소문대로 어렵긴 어려웠습니다. 담당 기자가 내용을 이해하느라, 가능한 쉽게 표현하느라 며칠 동안 골머리를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각각 절반씩 받는다. 이론상 일란성 쌍둥이를 제외하면 동일한 상염색체를 가진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침이나 혈액, 머리카락 등 본인이 생전에 남긴 DNA 시료와 시체의 DNA를 비교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상염색체 DNA는 무엇보다 강력한 신원확인 도구가 된다.하지만 본인의 DNA를 구하는 게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냥한다. 반면 보노보는 이렇게 많은 종을 잡아 먹지 않는다. 체계적인 사냥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보노보의 무리사냥이 보고된 적이 있지만, 침팬지처럼 수컷들만의 무리사냥은 아니었다.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보노보가 사는 곳에 먹이가 훨씬 풍족할 거라고 추정한다. 집단사냥은 고도로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기 때문이다. 화석을 뼈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화석은 옛 지질시대에 존재했던 생명체 또는 그 흔적이 광물로 변한 것이다. 물론 시베리아의 동토에서 종종 발견되는 매머드나, 건조지역에서 발견되는 미라의 경우는 다르다. 지난 6월호 광물이야기에서 겉모양과 실제 광물 성분이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본능적으로 느끼는 직감이나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력은 정말로 존재할까.몸과 정신 사이에 어떤 상호작용이 있는지 연구하는 미국 노스웨스턴대 심리학과 줄리아 모스브릿지 박사는 2014년 3월, 인체는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인지과학의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