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밝혀졌다.홍연석은 1766년 러시아의 우랄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됐고, 크롬 원소의 존재가 바로 이 광물을 통해 밝혀졌다. 지금은 새로운 원소를 찾는 데 가속기라는 거대 장치를 주로 사용하지만,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 대부분은 광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하면서 발견됐다. 색과 결정이 아름답고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진사회성은 1960년대 당시에는 벌목에 속하는 개미, 벌, 말벌 등과 흰개미목의 흰개미에만 존재한다고 여겨졌다. 왜 흰개미를 제외하면 벌목에서만 진사회성이 여러 번 독립적으로 출현했을까. 왜 벌목의 일꾼은 언제나 암컷인데, 이배체인 흰개미의 일꾼은 암컷도 있고 수컷도 있을까. 이 두 가지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뜻이지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2월의 비밀 조직, S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 ...
- 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을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2월의 비밀 조직, S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러나 워낙에 단백질을 많이 필요로 하는 생물이라 MSG의 99%는 덩치가 큰 단백질 상태로 존재한다. 유리MSG는 1%에 불과하다. | 닭1867g◎ 발효 : 단백질을 끊어서 감칠맛 성분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추출 : 재료를 오래 끓이면 감칠맛 성분이 최대로 녹아 나온다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나의 우주에서는 이상현상이 발견되었을지라도, 지평선 너머에도 이런 방향성이 존재한다는 보장이 없다.하지만 최근 이런 미제에 도전하는 연구결과들이 눈에 띈다. 지난 9월,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과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공동연구팀은 특정 방향으로의 뒤틀림이 악의 축을 만든다고 ... ...
- Part 1. 백해무익,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 몸이 더 빨리 늙게 된답니다.담배 피우면 방사능에 피폭된다?담뱃잎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마찬가지로 자연방사성 물질이 들어 있어요. 그 중에서 ‘폴로늄’이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지요. 폴로늄은 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담배 연기를 통해 몸에 들어와요.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탔는데 폭풍우가 몰아치자 하디는 리만 가설을 해결했다고 전보를 보냈다. 만약 신이 존재하면 거짓을 용납하지 못해 배를 침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하디는 무사히 돌아왔다. 하디와 라마누잔의 아름다운 연구하디가 없었으면 라마누잔도 없었다. 하디만이 유일하게 역사를 바꿀 천재 ... ...
- [과학뉴스] 질투하는 사람은 조직마다 꼭 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실을 알아냈다. 질투형이 30%로 가장 많았고 낙관형, 비관형, 신뢰형이 각각 20%씩 존재했다. 나머지 평균 10%의 사람들은 네 가지 성격 범주에 속하지 않았다.연구팀은 조직에서 특정 유형의 사람이 다수를 차지하면 조직이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어 다양한 유형의 구성원이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봤듯이,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반드시 개체군내에 ‘희소하게’ 존재해야만 그 유전자가 선택되는 것은 아니다.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드물든지 흔하든지 간에, 해밀턴의 규칙만 충족된다면 그 유전자의 빈도는 증가한다. 실제로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할데인의 이 글을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