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NASA) 고다드 우주센터의 케이시 호니볼 연구팀은 달 남극 표면에서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호니볼 연구팀은 ‘적외선 천문학 성층권 천문대 망원경(SOFIA)’을 이용해 달 남반구 고위도 지역을 관측했어요. SOFIA는 성층권에 비행기를 띄워 적외선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망원경이에요. 관측 결과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로봇개는 위험한 산업 현장이나 방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이번 연구가 발표된 논문의 제1저자인 이준호 연구원은 “앞으로 연구에서 로봇개가 험난한 지형에서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보세요. 어쩌면 5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편리하고 정밀하게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해 기대감에 시청했지요. 뉴럴링크에서 발표한 ‘링크’ 기기는 BMI 기술을 대중화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Q기존의 BMI 기술과의 차별점이 있나요?머릿속에서 측정한 뇌파를 무선으로 보내는 기술, 몸 밖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베누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다고 발표했죠. 베누를 탐사하기 위해 NASA는 2016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발사했어요. 이 탐사선은 2018년 베누에 도착한 뒤, 상공에 머물며 여러 임무를 수행했어요.10월 21일 오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새로운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공동연구팀은 ‘압축’을 하면 오가노이드를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다고 발표했어.연구팀은 세포를 압축해 베타카테닌의 밀도가 높아지면, 서로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 전달이 빨라지고, 그 결과 장기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거든.이를 확인하기 위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단백질’과 활성탄을 이용해 만든 필터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유청 단백질을 사용해 단백질 섬유를 제작했어요. 식물성 섬유로 종이를 만들 듯, 단백질 섬유와 활성탄 알갱이가 섞인 용액을 얇게 편 뒤 물을 증발시키면 복잡하게 얽힌 단백질 섬유 ... ...
- [과학뉴스] 세계 최강 물곰, 자외선도 견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자외선에 노출돼도 끄떡없는 ‘파라마크로비오투스 뱅갈루루’ 물곰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물곰에게 자외선을 쏘자, 물곰은 파랗게 빛났어요. 이 파란 형광 색소를 제거한 뱅갈루루 물곰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죽었지요. 파란빛 형광 색소가 물곰의 생존 비결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 ...
- [만화뉴스] 늙은 ‘똥’을 이식하자 어른이 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대변 이식이 기억력과 공간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10월 1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나이 든 쥐의 장내 미생물이 어린 쥐의 노화와 관련된 중추 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24개월 된 쥐의 똥에서 미생물을 추출했어요. 그리고 3개월 된 쥐의 장에 이식한 뒤, ... ...
- [과학뉴스] 택배 박스 줄게, 친환경 연료 다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박사팀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자일로스까지 소화하는 미생물을 개발했다고 10월 13일 발표했어요. 일반 미생물 야로위아 리폴리티카(Yarrowia lipolytica) 역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분해해 바이오디젤을 만들어요. 하지만 이 미생물은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있는 당 중에서 65%를 차지하는 포도당만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