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실시간 교통 상황을 더 정확하게 알려주는 알고리듬 개발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결과를 2020년 8월 24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SIGKDD 국제도시컴퓨팅워크숍’에서
발표
했고, 12월 2일 북서태평양국립연구소 홈페이지에 소개했습니다.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내 능력치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지? 백신의 능력치를 ‘효능’이라고 불러. 뉴스에서 백신의 효능이 94%, 95%라고 말하는 걸 들어봤을 거야. 지금부터 이 수치가 어떻게 나왔는지 알려줄게. ... 백신을 처음 접종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1년 2~3월에 백신을 도입한다고
발표
했습니다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빠르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코로나19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
하기도 했습니다. 집단 방역 효과 보려면 사회적 압력을 개인적 손해보다 높여야김필원 UNIST 수리과학과 교수님은 전염병 상황에서 집단 방역 효과를 게임이론으로 알아보는 방식도 제안했습니다. 전체 인구 ... ...
[화보] 이글이글 앳된 태양의 민낯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듯이 접근했지만 아직 풀지 못한 비밀이 무궁무진하다. 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가 매년
발표
하는 ‘2020년 올해의 천문 사진’ 태양 부문 수상작들을 통해 태양의 민낯을다시금 들여다보자 ... ...
[과학뉴스] 화성에 물이 흐를 수 있었던 비결은 지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흘렀을 가능성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지난해 12월 2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호에 탑재된 감마선분광계(GRS) 데이터를 분석했다. GRS가 측정한 열을 방출하는 화학 원소들의 분포를 토대로, 과거에 이 화학 원소들이 방출했을 열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결합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플로스 계산생물학’ 지난해 12월 3일자에
발표
했다. 종간 전염은 어떤 종에 감염돼 있던 바이러스가 다른 종의 숙주를 감염시키는 현상이다. 바이러스 감염의 첫 번째 단계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세포막에 붙는 것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 ...
[과학뉴스] 광학 집게로 원자 집어 시간 알려주는 ‘집게 시계’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관측해 시간을 측정하는 원자시계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난해 12월 16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스트론튬 원자를 배치하고 레이저를 쐈다. 이렇게 하면 150개 원자가 레이저에 집혀 올라간다. 이어 모인 스트론튬 원자에 기존 레이저 빛과 수직인 또 다른 레이저를 쐈다. 그러자 스트론튬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모임을 가면 대부분이 70~80대인데, 그들은 여전히 자신의 연구결과를 열정적으로
발표
하고 토론한다”며 “이런 연구자들과 우주 탐사 역사의 기록적인 순간들을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 후임자를 기다리고 있는 허블우주망원경 발사된 지 30년이 넘은 허블우주망원경도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다이오드로 구성한 테라헤르츠 송수신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
했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P형과 N형 접합으로 된 일반 다이오드와 달리 금속과 실리콘을 접합해 구성한다. 전자나 정공 중 한 가지만을 이용해 전파를 수송하기 때문에 고주파 전송에 유리하다.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그물이 좀 더 촘촘해져 암흑물질의 단서를 얻기 더 쉬워지는 셈입니다. 이 논문이
발표
된 이후 물리 연구를 위한 광자력계 국제 네트워크(GNOME)는 현재까지 전 세계 여섯 개 국가의 13개 도시에 설치된 광자력계를 동기화했습니다. 그중 대전 KAIST에 있는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은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