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말이 통증을 느끼는 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애니멀’ 지난해 1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 10명과 말 20마리의 엉덩이 피부 바깥층을 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했는데, 통증과 직접 연관된 표피층의 두께와 통각을 느끼는 말단 신경세포의 밀도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의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는데, 전교에서 이 주제로 발표한 사람은 김 군이 유일했다. 김 군은 “과학동아 기사에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나오는 개념이 많이 등장한다”며 “과학동아를 읽고 수업을 들으면 내용 이해가 훨씬 수월하다”고 말했다. 그는 “예를 ... ...
- [특집] 청동검의 비밀을 낱낱이 파헤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고고학자 라파엘 헤르만 박사팀은 청동검이 실제 전투에 사용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헤르만 박사는 당시 전사들이 청동의 특성을 이해해 그에 맞는 전투 기술을 터득했을 것이라고 추측했지요. 연구팀은 먼저 청동검 모형을 만들고 중세 유럽 전투 기술을 재현해 직접 결투를 했어요. ... ...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분석해 먹이 정보를 얻은 연구가 많았는데, 10월 22일에는 사냥 행동까지 알아낸 연구가 발표됐어요. 미국 스미스소니언열대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사마귀입술박쥐의 똥을 뒤진 결과지요. 사마귀입술박쥐는 개구리가 짝짓기를 할 때 내는 울음소리의 주파수를 듣고 먹잇감을 찾아내 영어로 ... ...
- [만화뉴스] 차디찬 영하 70℃에서 얼지 않은 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영하 7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대기압의 3000배 정도의 압력을 가해 영하 160℃ 상태의 고밀도 얼음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레이저를 쏘아 순간적으로 얼음을 가열했어요. 그러자 찰나의 순간 그 부분이 영하 70℃의 물로 녹았다가 ... ...
- [기획] ‘정상 체온’은 어떻게 결정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그는 체온이 1℃ 상승할 때마다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세균이 6%씩 감소한다고 발표한 이전 연구에 이어, 체온이 35.9~37.7℃일 때 가장 적은 에너지로 세균 감염이 효과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수학적으로 확인했다고 밝혔지요. 그는 “이 연구가 인간의 정상 체온이 약 36.7℃로 유지되는 것을 ... ...
- [특집] 세상에 나쁜 턱수염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캐리어 교수 연구팀은 남자의 턱수염이 풍성할수록 충격을 잘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싸울 때 턱이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부위이고, 다치면 후유증도 심하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턱을 보호하기 위해 턱수염이 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가정했지요.연구팀은 ... ...
- [과학뉴스] 한국 인공태양, 1억℃에서 20초 빛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KSTAR)로 인공태양의 온도를 1억℃에서 20초 이상 유지하며 세계 신기록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어요. 2019년 8초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또다시 신기록을 세운 거죠.인공태양은 태양처럼 원자핵이 서로 합쳐지는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장치예요. 과학자들은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기후변화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 변온동물의 노화를 앞당기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어요. 기온이 높을 때, 변온동물의 성장이 가속화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밝혀졌어요. 게르만 오리자올라 연구팀은 “성장이 빨라지면 단백질과 DNA에 활성산소가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고, ... ...
- [과학뉴스] 반짝반짝! 신종 발광 버섯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인도 북동부 메갈라야의 대나무 숲에서 줄기가 초록빛을 내는 발광 버섯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학계에는 처음 보고됐지만, 현지 주민들은 예전부터 어두운 밤을 밝히는 용도로 이 버섯을 사용했지요. 이 버섯은 죽은 대나무에서만 자란다는 뜻으로 ‘로리도미세스 필로스타키디스(Roridomyces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