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은하가 우주 그
자체
라고 믿었다. 즉 우리은하는 광활한 우주 그
자체
이며, 태양은 그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1920년대에 들어와 이러한 믿음이 무너졌다. 먼저 미국의 천문학자 섀플리는 태양이 우리은하 중심에서 수만 광년 떨어진 변두리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곧 2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
가 말이 안 됩니다. 어떤 나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들려고 할까요?”기자가 해저도시에 대해 물어봤더니 해양 과학자들, 공학자들은 한결같은 반응이었다. 관광이나 연구가 아니라 진짜로 살기 위한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문제가 더 심각하다. 사람 손으로 수술하기엔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 수술을 시도하는
자체
를 ‘실험’처럼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윤리 문제 때문에 지금은 몇몇 국가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신개념 수술법이라 의사들 사이에서 의견도 격렬하게 나뉜다. 위나 대장, 자궁 등 내시경으로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주류 학자들은 뉴로피드백의 효과
자체
는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도 그 효과의 많은 부분이 플라시보 효과(위약효과)라는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최근에 뇌 활동을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가뇌조절 ... ...
2013학년도 달라지는 고려대 입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포토폴리오를 받지 않습니다. 공인외국어성적이나 각종 교과관련 교외 수상실적
자체
를 평가에 반영하지 않고요. 교내 수상실적의 경우는 수상실적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진로에 맞는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모습도 평가요소로 반영합니다. 3년간 학생을 지도한 선생님이 기록한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획득하려다 뜻밖에 다른 형질을 잃어버릴 때가 많다”고 설명했다. 교배육종이라는 방법
자체
가 유전자를 뒤섞는 과정을 자연에 완전히 맡기는 것인 만큼 불확실성이 크다.교배육종의 또 다른 단점은 식물의 유전자에 애초부터 없는 형질은 아무리 교배를 해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좋은 예가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자체
가 빛을 내지 못하므로 반드시 후방조명(back light)이 필요하다. 반면 OLED는 소자가
자체
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후방조명이 필요 없어서 더욱 얇게 만들 수 있고, 구부리거나 휘는 디스플레이도 만들 수 있다. OLED는 화면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PM형과 AM형으로 나뉜다. PM형 OLED는 화면에 배열된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자리 잡았다.이번 호에는 132년 전인 1880년 네이처에 실린 짧은 논문을 소개한다. 이 논문
자체
는 생명과학 분야에 속한다고 볼 수 없겠지만 결국은 훗날 생명과학 측면의 연구가 뒤따르게 되므로 어찌 됐든 원조인 셈이다. 바로 지문에 대한 첫 번째 논문이다.손가락에 지문이 있다는 건 알고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는데, 이렇게 정박해 있는 동안에도 배 안에 전기를 공급해야 한다. 크루즈는 보통
자체
발전기가 있어서 전기를 해결한다. 레전드호는 디젤발전기 5개로 선상에서 필요한 전기를 모두 생산한다. 만약 정박해 있는 동안만이라도 외부 전력을 끌어 쓴다면 디젤 엔진을 꺼도 돼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보다 크면 별의 핵융합 반응도 불가능해지고 만다.이렇게 미세구조 상수는 우리의 존재
자체
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양자전기역학의 창시자인 리처드 파인만도 이 상수의 미스터리한 면에 깊이 빠져 있었다. 파인만은 1985년 자신의 저서에서 α에 대해 “발견된 지 50년 이상이 흘렀지만 여전히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