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로켓 운반체 ‘제니트-2SB’에 실려 발사됐다. 로켓 운반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됐으나
자체
엔진장치가 켜지지 않아 정상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 러시아와 유럽 우주당국은 탐사선의 엔진을 점화하기 위해 수차례 교신을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포보스-그룬트는 67일간 지구 저궤도를 돌다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1월인데도 붉은 황토빛이었고, 물기가 많지 않았다.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
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아까워 시골 도랑에는 차츰 콘크리트가 놓이고 있다”며 “이런 변화는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해봐야 단기간 내에 발생한 두통, 경련 등이 전부다. 게다가 종양
자체
가 촉수처럼 조직과 세포 여기저기에 뻗쳐있어 종양이 의심되면 한숨부터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수술을 피할 수 없다. 완전한 절제는 어려워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매우 아플 것이다. 이런 이유로 발바닥이 아치 모양이 아닌 평발을 가진 사람은 걷는 것
자체
만으로도 매우 피곤함을 느낀다. 한 사람이 평생 동안 걷는 거리는 지구 둘레의 네 바퀴 반. 땅에 부딪치는 횟수는 1억 번 정도다. 1㎞를 가는 데 약 16t의 엄청난 무게를 지탱한다.발이 아치 구조가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아닌 ‘전자공격’을 통해 드론을 외부 손상 없이 나포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드론
자체
기기 결함으로 추락했다고 맞섰다. 드론이 나포 당한 사실을 한동안 인정하지 않던 미국은 12일 이례적으로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이란 측에 반환을 요구했다. 이란이 이 요구를 거절하면서 양국 관계는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태양처럼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별이 연료인 수소와 헬륨을 다 태워 연료가 바닥나면
자체
중력으로 수축해 점점 작아진다. 마지막에는 폭발하고 마는데(초신성 폭발), 이때 별의 질량이 태양의 1.4배에서 2배 사이면 폭발 잔해에서 생기는 중력의 힘으로 중성자별이 생겨난다.고밀도의 별에서는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자료를 보면, 자정작용이 아주 빠르게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건은 트위터가
자체
적인 자정 능력뿐만 아니라, 방송에서 만들어진 정보까지 자정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좋은 사례다. 전문가들은 트위터에는 다양한 분야와 계층의 이용자들이 많은 만큼 자연스럽게 집단 지성을 통해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내주는 건축 재료나 장비, 생활 용품에 의존해야 했던 초기와 달리 이제는 화성에서도
자체
적으로 이런 재료를 만들 수 있다. 웰즈 시 외곽에 있는 금속 제련소에서는 화성의 토양에서 유용한 금속을 뽑아낸다. 화성의 흙에는 산화철, 즉 녹슨 철이 많다. 화성의 흙이 붉은 이유다. 이처럼 화성의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오그라드는 모양으로 순식간에 바뀐다.“파리지옥 로봇을 어디에 쓸 수 있냐고요? 로봇
자체
보다는 로봇의 소재를 이용할 생각입니다.”파리지옥을 만드는 데 쓴 재료로 인공근육을 개발할 수 있다. 기존 인공근육 중 반응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눈꺼풀이나 표정을 나타내는 얼굴 근육으로도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같이 강한 빛을 내는 펄스 레이저는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빛이 모이면 레이저 발생장치
자체
가 손상을 입는다. 이를 막기 위해 펄스의 길이를 길게 늘려 레이저 빛의 세기를 낮춘다. 이렇게 빛을 증폭시켜나가다 마지막 단계에서 빛을 내보내는 시간을 단축시키면 아주 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