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올림픽, 0.04초의 과학 - 싸움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런던올림픽에서 ‘올림픽의 신조’를 발표했다.“올림픽의 의의는 승리가 아니라 참가
자체
에 있다.그리고 올림픽의 본질은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잘 싸우는 것이다.”쿠베르탱이 말한 것처럼 올림픽의 본질은 바로 ‘잘 싸우는 것’이다.역설적으로 위대한 싸움을 통해 우리는 위대한 평화를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90°나 바뀌었다고 보고했다. 이 정도 속도라면 대륙이 이동한 것이 아니라 지구회전축
자체
가 돌아가 적도와 극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를 ‘관성교환진극이동설’이라고 한다. 학계의 논란이 많았지만 이 설은 5억 2000만 년 전에서 5억 3500만 년 전에 발견되는 동물문(門, Phyla)의 급작스런 출현과 ... ...
함께한다고 다 즐겁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보자 편안한 여가 활동이 연애 관계에 도움이 된다고 쓰여 있었습니다. 편안한 활동
자체
가 좋다기보다는 편안하면 서로 ‘소셜 스킬’, 즉 사회적 관계에 대한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이었습니다.너만 좋으면 나도 좋아? NO!소년이 두 번째로 찾은 논문은 2001년 미국 아리조나주립대 ... ...
수학·과학 외 영역도 챙기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학년이면 진지하게 고민을 시작할 때가 됐어. 너무 걱정하지 마. 여기 상담하러 온 것
자체
가 이미 상위 5%에 해당하는 자세야. 선생님은 S학생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해.” “네. 더 고민할께요.” “책은 많이 읽니?” “아…. 별로요. 과학책만 좀 읽고 인문학 책은 거의 안 읽어요.” S학생의 ... ...
[8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과동 Pickup으로 선정된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은 Choice 기사와 마찬가지로 제목
자체
만으로도 눈길을 끈다. 독자들이 독도에 가보는 것도 쉽지 않지만 독도에 살고 있는 괭이갈매기의 생태를 살펴보는 것 역시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제목만 놓고 보자면 기자가 직접 독도에 방문해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호모 하빌리스가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올도완 석기(돌 두 개를 마주쳐 그 돌
자체
나 떨어져 나온 조각에 날을 세운 석기)는 이렇게 뼈 깨는 돌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육식이 부른 또다른 진화고기를 먹기 시작하자, 인류에게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기름진(고지방)식품 섭취에 힘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우주상수의 값이 더 작았다면 우주는 지금도 감속팽창을 해 우리가 우주상수의 존재
자체
를 아직 몰랐을 수도 있고, 더 컸다면 인플레이션이 더 길어져서 아직 별과 은하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중력의 법칙이 달랐다면?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만일 중력이 거리의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카이스트 해양시스템공학전공 교수는 “생명체를 닮은 로봇을 만드는 것보다 생물체
자체
를 조종하는 게 여러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라며 “수억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해 온 생물의 에너지 생산 메커니즘을 로봇의 배터리가 따라올 수 없다”고 설명했다.기존 연구는 자극과 반응으로 동물의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물론 전력회사도 비상대비책을 세워두고 있긴 하다. 대정전 사태에 대비해 발 빠르게
자체
기동이 가능한 발전소를 전국 곳곳에 미리 지정해 뒀다. 이런 작업은 빠른 시간 안에 발전기를 켤 수 있는 가스터빈 발전소 등이 주로 담당한다. 전력회사는 전국적인 블랙아웃이 일어나면 각 지역별로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알프레드 타르스키가 해결했어요. 그는 사실에 관해 말하는 언어(대상언어)와, 그 언어
자체
에 대해 말하는 언어(메타언어)를 구분해야 한다고 봤어요.메타언어는 대상언어가 말하고 있는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하기 때문에, 대상언어에 비해 한 단계 높은 차원에 속한다고 했지요. 타르스키는 두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