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미하일 그로모프가 만든 유사정칙 곡선과 후카야 범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각각의 대학으로 흩어졌다. 일본에 있던 그들과 미국 한복판에 있던 내가 만나기가 쉽지 않았던 그 시절에, 뉴턴 연구소는 우리 연구의 인큐베이터가 되어준 셈이다. 이 협업은 25년을 거쳐 지금까지 온라인으로 ... ...
- [몬스터를 잡아라!] 나 잡아봐라~! 변 몬스터와 오각형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놀이북21쪽과 함께 보세요! “으아아아악! 나 과자 아니고 변 몬스터야~.”이게 무슨 소린가 하고 주위를 둘러보니 오각형 몬스터가 변 몬스터의 뒤를 쫓고 있네요. 변 몬스터가 초콜릿이 묻은 막대 과자와 닮아서 헷갈렸나 봐요. 게임을 즐기면 두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 ... ...
- [특집] 베고,심고,가꾸고! 만들어요! 건강한 숲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어서 오세요! ‘만들어요! 건강한 숲’ 게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 게임은 건강한 숲을 만들고 관리하는 숲 경영 게임입니다. 나무들을 잘 선택해 건강한 숲을 구성하는 것이 숲 경영의 관건! 그런데 어떻게 하면 건강한 숲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이어지는 가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베고, ... ...
- [특집] 건강한 숲 비결은 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7종이 분포하는 데 그쳤어요. 특히 관목류와 초본류가 훨씬 풍부하게 자랐지요. 이화여자대학교 식물분류학 소지현 박사는 “우리나라의 숲은 과거 녹화사업을 통해 주로 만들어지면서 나무의 종 수가 다양하지 않다”며, “숲 가꾸기를 통해 더 다양한 종의 나무가 서식한다면, 좀 더 먼 미래에는 ... ...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생분해 플라스틱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지난해 12월,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진정호 교수 연구팀은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물에 잘 젖지 않고 생분해되는 포장재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쓰고 있는 비닐 포장재는 합성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 ...
- [가상 인터뷰] 우는 게 특기?! 눈물샘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실험한 것과는 다르다는 점이지. 그런데 왜 울게된 거야?3월 16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병원 한스 클리버 교수 연구팀은 사람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배양하고 실제로 눈물이 나오게 했다고 밝혔어. 연구팀은 눈물샘 세포를 배양액에서 길러 오가노이드를 만든 뒤,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기 ...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알 수 있다. 인•터•뷰 “우리나라에 들른 4BBRW, 제가 발견했어요!”주용기(전북대학교 전임연구원) Q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원래 환경운동가로 다양한 환경 보호 활동을 했어요. 새만금 간척 반대 운동을 진행하면서 갯벌 조류를 관찰하게 되었어요. 지금은 서천 갯벌에서 도요물떼새 ... ...
- [수학뉴스] 열대어 줄무늬 만드는 튜링 패턴 나노 세계에도 적용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단위의 작은 세계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후세야 유키 일본 전기통신대학교 교수팀은 개별 원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규모에서도 튜링 패턴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해 7월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원자번호 83번 ... ...
- [기획] 수학으로 밝혔다! 6600만 년 전 지구에 무슨 일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책임연구원), 박진영(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고생물학연구실 박사과정), 이정현(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 참고Charles R. Marshall 외 6명, ‘Absolute abundance and preservation rate of Tyrannosaurus rex(2021)’, Annemarie E. Pickersg ...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숫자를 셀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011년 당시 데미안 스카프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비둘기에게 도형이 각각 1개, 2개, 3개 그려진 그림을 보여주고 비둘기가 작은 수에서 큰 수 순으로 그림을 부리로 쪼면서 숫자를 익히는 실험을 진행했어요. 성공하면 보상으로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