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살려 기하와 관련된 교육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특히 영재교육에 관심이 많아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을 맡으며 영재교육 전반에 관해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 교수님은 우리가 왜 수학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최영기 교수 “수학을 왜 배울까?”라고 학생들에게 물으면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바다를 깨끗하게 만드는 일을 디자인과 기술로 실현하고자 2018년 몽세누를 창업했다. 대학에서 산업디자인과 시각디자인을 전공하던 그는 “패션산업에서 벌어지는 자원 낭비 문제가 대두되던 시기였던지라, 사회·환경적 가치가 있는 소재와 공정을 사용하면서 사람들이 입고 싶어하는 매력적인 ... ...
- “따뜻한 기술을 구현하는 개발자가 더 많아지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IDEAMP가 제작한 앱을 사용하고 있다. 긴 여행의 끝엔 개발자의 길이 있었다“처음엔 대학에서 전공한 나노과학 분야에 취업을 해서 실력도 인정받으면서 열심히 회사생활을 했어요. 그러다 반복되는 생활과 정해진 업무에 회의가 들며 ‘진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됐어요. 결국 ... ...
- [과동 키즈]이로운 옷 지어 세상에 베풀 수 있다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들어갔다. 그렇게 나는 법관이 되라는 할아버지의 바람에서 또 한 발짝 멀어졌다.대학교를 졸업하고 브랜드 ‘박춘무’에서 신입 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했다. 원·부자재 수급을 위해 동대문 시장을 다니고, 옷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샘플을 입어보는 일을 했다. 선배 디자이너와 함께 땀 흘려 만든 ... ...
- [특집] 숲을 위해 나무를 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없답니다. 인•터•뷰 “벌채가 동물들의 생활을 침해할 수 있어요”장이권(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교수) Q 동물행동학자로서 벌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벌채는 동물들의 생활을 침해할 수 있어요. 쉬는 공간을 남겨놨지만, 주변과 고립된 섬 형태라 동물들이 실제로 이용할 가능성은 ... ...
- [만화 뉴스] 배고플 때 결정하면 손해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월 20일, 미국 하버드의학대학교 프란치스카 플레소 교수팀은 ‘배고픔 호르몬’인 그렐린 수치가 높으면 사람들이 손해를 보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건강한 여성 34명과 그렐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식이 장애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보상 실험을 했어요. 그렐린 수치가 낮을 때와 ... ...
- [시사 과학] 달리지 못하게 된 자동차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시속 30㎞일 때는 크게 다칠 가능성이 15.4%로 감소했어요.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장기태 교수는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스쿨존을 포함해 여러 교통안전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설명했어요. 덧붙여, 장기태 교수와 도로교통공단 서울특별시지부 김용대 교수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특집] 미래가 이끄는 메타버스! 너도 타보지 않을래?수학동아 l2021년 08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2108N007 나를 닮은 아바타로 게임을 하고, 한 번도 가지 못한 곳을 가보고, 물건을 보기만 해도 관련 정보가 내 눈 앞에 펼쳐지는 세상. 영화 속에서 다 본 모습들이라고요? 하지만 이제 영화가 아닌 현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래를 이끄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만들어 ...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해 지구의 회복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만 이정현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은 오차가 1% 내외로, 약 6600만 년 전이라면 오차 범위는 66만 년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면 정확한 시점을 파악할 수 있을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