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숲이 나이 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나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게 아니라 배출한다고? 미국 노던애리조나대학교 캐서린 더피 박사 연구팀은 전 세계에서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저장하고 있는 열대 우림과 북방림의 흡수 능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어요. 2050년까지 45% 이상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지요. 나무가 ... ...
-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아니야. 그런데 왜 하와이에서는 무지개를 자주 볼 수 있을까? 지난 2월, 미국 하와이대학교 해양지구과학기술학부 스티븐 버싱어 교수가 이전에 밝혀진 하와이의 기후와 지리적 특징을 종합해서 그 이유를 설명했어. 왜 하와이에 무지개가 많이 생기는 거야?하와이는 소나기가 많이 내리기 ... ...
- [기획]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날기 챔피언! 큰뒷부리도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착륙 준비, 착륙 준비! 여기도 1년 만이군! 나는 큰뒷부리도요 4BBRW. 지금 막 대한민국의 금강 하구 갯벌에 도착했어. 앞으로 한 달 정도 머물다 5월에 머나먼 미국 알래스카로 떠날 거야. 그곳까지 가려면 6250km를 쉬지 않고 날아야 하니 이제부터 열심히 먹어서 살을 찌워야 하지. 그렇게 멀리 날아 ... ...
-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바다에 사는 갯민숭달팽이의 종류인 ‘Elysia cf.marginata’와 ‘Elysia atroviridis’예요.나라대학교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갯민숭달팽이를 키우며 이들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원인과 능력의 정도를 연구해왔어요. 갯민숭달팽이는 식물처럼 햇빛으로 에너지를 생산해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살 수 있거든요. ...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이 뉴스, 믿어? 말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살균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퍼진 적 있어요. 과학적 근거가 없을 뿐더러, 한 대학교 교수의 이름을 사칭한 허위조작 정보였지요. 이처럼 정보가 과도하게 쏟아지면서 사람들이 무엇이 올바른 정보인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현상을 ‘팬데믹’에 빗대어 ‘인포데믹(Infodemic)’이라고 해요. ... ...
- [특집] 약일까 독일까?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측면에서의 윤리 가이드라인이나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죠.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메타버스는 또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체가 각자 다른 방법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국회는 관련 법을 제정하고, 교육계는 올바른 가치관을 ... ...
- [기획] 6600만 년 전 백악기, 수학으로 되돌려보는 지구의 모습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얼마나 번성했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2021년 4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와 샌디에이고자연사박물관 등 공동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티라노사우루스가 소행성 충돌이 있기 전 250만 년 동안 약 25억 마리가 살았을 거라는 결과를 냈습니다. 연구팀은 현재 살아있는 ... ...
-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풀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고든 로일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교수는 2012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슈퍼컴퓨터로 무작정 스도쿠를 계산해 컴퓨터 기술과 수학적 테크닉을 한계까지 밀어붙였다”고 말하기도 했죠. 사실 컴퓨터를 써서 수학 문제를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눈 수학] 같은 모양이라도 펼치면 달라지는 직육면체 전개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놀이북 6쪽, 23쪽과 함께 보세요! 전개도는 오직 하나뿐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직육면체 전개도는 여러 개랍니다. 같은 직육면체라도 펼치면 달라지는 직육면체 전개도! 지금 바로 샅샅이 알려드립니다.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특집] 숲을 위해 나무를 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없답니다. 인•터•뷰 “벌채가 동물들의 생활을 침해할 수 있어요”장이권(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교수) Q 동물행동학자로서 벌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벌채는 동물들의 생활을 침해할 수 있어요. 쉬는 공간을 남겨놨지만, 주변과 고립된 섬 형태라 동물들이 실제로 이용할 가능성은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